"콘텐츠 제작지원 개선 필요"
방송통신위원회가 넷플릭스 등 글로벌 OTT업체들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OTT 활성화 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다.
한상혁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은 18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국내 OTT 사업자들과 간담회를 열고 “정부 정책 지원 활성화 및 OTT 플랫폼의 해외 진출을 위해 국내 OTT 활성화 협의체를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플랫폼의 중심이 케이블TV에서 IPTV로 이제는 OTT로 이동하고 있다”며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OTT 서비스는 콘텐츠 소비의 중심축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전략적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한 위원장은 “협의체에서 콘텐츠·플랫폼·시민단체·학계 등 폭넓은 의견을 수렴하고 인공지능(AI) 기반 음성·자막 자동변화시스템 개발도 추진할 계획”이라며 “이를 위해 방통위 내에 OTT 정책을 총괄하는 OTT 정책협력팀을 운영하겠다”고 설명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이태현 웨이브 대표, 양지을 티빙 부사장, 김훈배 KT 신사업본부장, 박대훈 왓챠 대표 등이 참석했다.
사업자들은 “현재 국내 OTT 시장에서 넷플릭스, 유튜브 등 해외 메이저 사업자들의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다”며 “해외 OTT에 대한 대응과 국내 콘텐츠 경쟁력 제고 등을 위해 정부의 적극적 K-OTT 정책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 정부 정책 및 지원체계로는 해외 OTT 콘텐츠 대응에 한계가 있다며, 대작 오리지널 콘텐츠가 제작될 수 있도록 콘텐츠 직접 제작지원 방식 개선(지원대상, 펀드조성, 수익보장 방식 등)과 간접지원(제작비 세제지원 및 콘텐츠 R&D) 확대, 콘텐츠 투자 활성화를 위한 인수합병(M&A) 절차 간소화 등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