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적 비수기·휴가철·장마 영향 불구하고 올라
신축단지·역세권·학군선호 지역 전세 상승 지속
전세시장 불안감이 쉽사리 꺾이지 않고 있다. 임대차법 도입후 전세계약 기간이 4년으로 늘어나고 보증금 인상률이 5%로 제한되자 집주인들이 미리 보증금을 올려 받으려 하면서 전셋값이 뛴 영향이다. 결국 서울 전세가격은 59주 연속 상승했다.
15일 한국감정원 주간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이번주(10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률은 0.14%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주(0.17%) 대비 상승폭은 소폭 축소됐으나 여전히 강세를 유지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강북보다 강남의 전세가격 오름세가 두드러졌다.
강남4구중 강동구(0.24%)는 고덕·강일동의 새 아파트 전세 강세 현상으로 송파구(0.22%)와 강남구(0.21%) 등 학군 선호지역 위주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서초구(0.20%)는 2600가구에 달하는 한신4지구 이주 영향이 이어지면서 잠원동 위주로 전세가격이 올랐다.
강북에서는 마포구(0.19%)와 성동구(0.17%)가 전세가격을 끌어올렸다. 마포구는 연남·현석·신수동 등 구축단지, 성동구는 금호·행당·하왕십리 등 역세권 대단지 위주로 각각 상승했다.
계절적 비수기와 장마 영향으로 일부 수요가 줄며 상승폭은 축소됐지만 역세권이나 학군 양호지역에서 전세가격 오름세가 지속됐다.
업계는 서울 아파트 전세시장의 불안감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부동산 대출 규제 강화와 계약갱신청구권과 전월세상한제 등 새 임대차법 시행 이후 전세 물량이 줄어들고 있어서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전세 매물이 없어 수급 불안정이 지속되고 있고 보증금을 크게 높여 불러 가격이 불안한 상태”라고 말했다.
이처럼 부동산시장 내 불안한 흐름이 계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재인 대통령은 주택시장이 안정되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여론도 싸늘하다.
여론조사 전문업체인 한국갤럽이 지난 11~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1명에게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해 평가를 물어 14일 공개한 부동산 정책과 관련한 여론조사 결과(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 13%)에 따르면, 응답자의 65%가 ‘잘못하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 ‘잘하고 있다’는 18%에 그쳤다. 18%는 평가를 유보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0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과열 현상을 빚던 주택 시장이 안정화되고, 집값 상승세가 진정되는 양상을 보이기 시작했다“며 “앞으로 대책의 효과가 본격화되면 이런 추세가 더욱 가속화되리라 기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