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건설 전문가·융복합 콘텐츠 창작자·데이터 시각화 전문가·미래차 정비 기술자·녹색금융 전문가 등
관련 법·제도 함께 손질
미래차 정비 기술자, 커머스 크리에이터 등 정부가 유망한 신직업 14개를 집중 육성한다. 관련 법과 제도도 함께 손질한다.
정부는 13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미래 산업·직업 구조 대비 신직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스마트건설 전문가 ▲융복합 콘텐츠 창작자 ▲데이터 시각화 전문가 ▲미래차 정비 기술자 ▲녹색금융 전문가 ▲커머스 크리에이터 6개 직업에 대해 전문 인력 양성을 지원한다.
스마트건설 전문가는 건설기술인 교육기관에 스마트 건설기술 과정을 신설해 실무형 융복합 콘텐츠 창작자를 양성한다. 오는 2021~2025년 5년간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미래차 정비 기술자는 차량 정비업체 재직자를 대상으로 전환교육 이수를 의무화하고 전문대학 자동차학과 교육과정을 친환경자동차 중심으로 전환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녹색금융 특성화대학원을 지정해 운영하면서 녹색금융 전문가를 양성하고 커머스 크리에이터는 기존 교육과정의 대상 인원을 확대한다.
정부는 또 인구구조 변화에 따라 파생되는 신직업 6개로 ▲육아전문관리사 ▲난민전문 통번역인 ▲산림레포츠 지도사 ▲문화예술 후원 코디네이터 ▲오디오북 내레이터 ▲목재교육 전문가를 선정했다.
양육 공백이 발생한 가정에 찾아가 아동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육아전문관리사가 제대로 양성될 수 있도록 아이돌봄지원법을 개정해 공공·민간을 아우르는 통일된 육아전문관리사 자격증 도입을 추진한다.
기부자를 발굴해 문화예술단체, 예술가에게 재원을 지원하는 문화예술 후원 코디네이터의 경우는 공인자격 제도를 마련한다.
난민전문 통번역인의 경우 자격제도를 도입해 양성기관 지정을 추진한다. 산림레포츠 지도사와 목재교육 전문가도 양성기관을 지정하고 교육과정을 운영할 계획이다. 오디오북 내레이터에게는 제작비용을 지원하고 녹음 부스를 무료로 대여해줄 계획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재난·안전 분야 인력 확보와 관련된 신직업으로 ▲민간 인명구조사 ▲기계설비 유지관리자 등 2가지를 선정했다. 민간 인명구조사 인증시험 응시자격을 민간에 개방하고 119법 개정 등으로 국가 전문 자격화를 추진한다.
내년 4월부터 일정규모 이상 건축물에 ‘기계설비 유지관리자’ 선임이 의무화되는 데 맞춰 경력관리 기준 등 시행방안을 마련한다.
정부는 국내에 아직 도입되지 않았으나 국제사회에서 주목하는 유망 직업 ‘37개+α’도 추가로 발굴할 예정이다.
한편 정부는 이미 발표된 주요 신직업 가운데 ▲공인 탐정 ▲디지털 장의사 ▲개인정보보호 관리자 등 3개 직업에 대해 과거 무산됐던 입법을 21대 국회에서 재추진하도록 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