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에 위해 발생 시 엄정 조치 경고···의료계, 7일과 14일 총파업 추진
정부는 의료계가 추진하는 집단휴진과 관련, 우려 입장을 표명하고 집단행동을 자제하고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자고 촉구했다.
보건복지부는 오는 7일과 14일 각각 대한전공의협의회와 대한의사협회 주도로 추진 중인 의료계 총파업에 대한 입장을 5일 밝혔다.
복지부는 이날 ‘의대 정원 증원 및 의료계 집단휴진 추진 관련 의료계 및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코로나19라는 엄중 상황에서 일부 의료단체 등이 집단휴진 등을 논의하는 것에 대해서는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민들에게 피해를 야기할 수 있는 집단행동은 자제하고, 대화나 협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을 요청드린다”고 당부했다.
복지부는 “국민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고, 의료기관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대응책을 강구하고 있다”며 “응급실과 중환자실 등 필수의료 유지를 위해 대체 순번을 지정하거나 대체인력을 확보해 진료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병원에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병원은 당직의 조정 등 방안을 통해 의사를 배치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며 “복지부와 지자체에 24시간 비상진료상황실을 운영, 비상진료대책이 시행되도록 관리하겠다”고 덧붙였다.
또 복지부는 “향후 의료계 집단행동 과정에서 혹시 불법적 요소가 발생한다면 법과 규정에 따라 원칙 대응할 것”이라며 “만에 하나 국민에게 위해가 발생할 경우에는 엄정하게 조치할 것이라는 점도 설명드린다”고 경고했다.
이번 의대 정원 확대 조치는 지역에 따라 치료 편차가 생기는 불형평을 개선하고, 국민이 양질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역의료인력 확충이 골자라는 게 복지부의 설명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대처보다는 정부 진정성을 믿고 대화와 협의를 통한 상생 발전을 모색해 줄 것을 요청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