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피해 있는 그대로 받아 경영으로 해결될 상황 아냐”
대규모 실직 피할 수 없고 국가기간산업 특성상 무너질 경우 국민들에게 손해 돌아와
최근 항공업계에 이슈가 많은데요. 특히 고용유지지원금이 화두로 떠올랐습니다. 고용유지지원금은 말 그대로 고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기업에 지원금을 주는 것인데요. 최정호 진에어 대표,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 한태근 에어부산 대표 등 LCC 사장단이 국회를 찾아 고용유지지원금 연장을 호소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코로나로 다 힘든 시기에 왜 특히 항공업계가 고용유지지원금이 절실하다고 할까요?
업계 관계자 및 전문가들에 따르면 우선 대량해고 사태를 부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항공업계는 노골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해외 왕래가 끊기며 생긴 당연한 결과죠. 경영으로 어떻게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닙니다. 근본적으로 돈 버는 것 자체가 사실상 안 되는 상황인 것이죠.
그런데 고정적으로 나가는 비용은 또 큰 편입니다. 유급휴직, 무급휴직 등 항공업계도 어떻게든 생존의 몸부림을 치고 있는데요. 이 상황에서 고용유지지원금 까지 끊기면 더 심각한 상황으로 치닫게 된다는 것입니다.
허희영 한국항공대 경영학과 교수는 “고용유지지원금이 끊기면 하반기 항공사들의 대량해고 혹은 파산에 직면하게 되고, 국가기간산업인 만큼 경제에 미칠 파급력이 크다”며 “기간산업 안정기금이라는 제도가 항공이나 해운을 대상으로 하는 것도 이같은 이유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항공업은 국가기간산업으로 분류가 됩니다. 국가의 존속을 위해 꼭 필요한 산업 중 하나죠. 국내 항공업이 무너지면 그 빈자리는 결국 외국 항공사들이 채워가게 되고, 이로 인해 국민들도 손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자국 항공사가 없으면 결국 타국 항공사들에게 휘둘리게 되는 것이죠. 예를 들어 해운 역시 한진해운이 없어지고 나서 우리가 원하는 다이렉트 네트워크가 사라져 물류 단가가 올라가는 등 부작용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해외 각 국들은 코로나로 어려움을 겪는 항공사들에게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금은 고용유지지원금 정도로 항공사들을 버티게 할 수 있지만, 이미 파산하고 항공사가 사라진 이후 항공산업을 다시 발전시키려면 몇 배의 돈을 들여도 쉽지 않다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