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7 대책으로 대출금액 한도 낮아진데다 7·10대책으로 분양권 양도거래 어려워져
단기적인 호재의 종료와 규제의 시작···외지인 다수 들어간 지역 분위기 비슷

/ 그래픽=김은실 디자이너
분양권 단기보유 후 거래하는 형태로 수익을 얻는 단타족들의 행동이 위축되고 있다. 7.10 대책으로 양도세가 대거 늘어난 영향이다. / 그래픽=김은실 디자이너

 

투자목적의 외지인이 대거 유입되며 세간의 주목을 받던 청주 주택시장이 싸늘하게 식어가고 있다. 청주는 불과 두 달 여 전인 5월 중순만 하더라도 방사광 가속기 입지 선정 호재에 힘입어 한 달 새 2억 원씩 오르는 아파트 단지가 속출했다. 이처럼 지방 도시 치곤 유례없는 오름세를 보이다가 6·17 부동산 안정화 대책 발표 시점 직후부터 기세가 꺾이기 시작했다. 이 지역 투자자들은 조정지역으로 묶이며 대출한도가 줄어들고 보유세, 양도세까지 늘어났는데 7·10 대책까지 더해지며 효자인 줄 알았던 분양권이 속을 썩인다며 한숨쉬고 있다.

1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웃돈이 7000만 원 안팎으로까지 붙었던 청주 모충동의 한 아파트 분양권은 최근 들어 1000만 원 수준으로 웃돈이 대폭 깎여 매물로 나오고 있다. 한 달 전만해도 7000만 원 웃돈에 사겠다는 사람이 줄을 섰다는 게 현지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인근 오창이 방사광 가속기 입지로 선정되면서 외지인 다수가 관광버스를 대절해 내려와 한 번에 손바뀜을 진행하는 일도 종종 있을 정도였다. 실제 청주시 흥덕구의 경우 5월 월간 거래량 1079건 중 서울 거주자가 57건, 충북 외 거주자가 518건을 매입하며 외지인 매입비중(53.3%)이 절반을 넘어설 정도였다. 그러나 이제는 1000만 원에도 매수자가 따르지 않고 있다.

이는 7·10 대책으로 인해 분양권 투자자들이 큰 타격을 입은 영향이다. 현행 분양권 양도세율은 비규제지역의 경우 기간에 따라 6~50%, 조정대상지역은 기간에 상관없이 50%을 적용받는다. 그러나 이번 대책으로 규제와 관계없이 보유기간 1년 미만은 70%, 1년 이상은 60%로 인상된다. 청주의 경우 두 달 전만 해도 비규제지역이었기 때문에 분양권을 6개월 만에 매도하더라도 차익의 50%만 양도세로 내면 됐다. 이제는 차익의 70%을 세금으로 내야하기 때문에 수중에 남는 돈은 대폭 감소하게 된다. 온라인상의 분양권 투자 카페에 자신을 청주에 투자한 사람이라고 밝힌 A씨는 “최고가 아닌 최악을 염두하고 투자하는 게 맞는 것 같다. 지방 도시임에도 분위기에 취해 막차탄 게 이렇게 속썩일 줄은 몰랐다”고 푸념했다.

단타족들의 행동이 위축되며 지방 부동산 시장 분위기가 싸늘해져 가는 것은 비단 청주만의 문제는 아니다. 경남 김해, 거제, 경북 구미 등에서는 무피(프리미엄이 없이 거래하는 형태)도 속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김해의 경우 추후 공급물량이 적기 때문에 신축 아파트 수요가 많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면서 투자수요가 대거 몰렸는데 이제는 분양권을 받아주는 수요가 없다. 김해 무계동 S아파트 전용 84㎡는 수천만 원의 웃돈이 붙어있던 올 초와 달리 이제는 무피가 대다수를 이루고 있지만 거래는 없다.

이처럼 업계에서는 6·17 대책과 7·10 부동산 대책으로 지방 부동산 시장에 충격이 집중될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지방에 보유한 매물도 서울과 동일한 수준으로 세금을 매기다 보니 다주택자 또는 법인이 시세차익이 적은 지방의 매물을 매도하고, 서울의 똘똘한 한 채에 집중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필명 제네시스박으로 잘 알려진 박민수 더스마트컴퍼니 대표는 “특정 지역을 거론하기는 적절치 않지만 투자세력이 집중된 것으로 잘 알려진 지역들은 이번 대책으로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