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애 “종부세 납부 90%, 과표 6억 이하···투기 막기에는 역부족”

김진애 열린민주당 의원이 10일 국회 소통관에서 종부세 강화법안 발의에 대해 기자회견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김진애 열린민주당 의원이 10일 국회 소통관에서 종부세 강화법안 발의에 대해 기자회견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다주택자에 대한 종합부동산세 최고세율을 6% 수준으로 대폭 인상하는 방안을 두고 실제로 적용받는 개인 대상자는 20명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5일 김진애 열린민주당 의원은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개인별 종합부동산세 과세표준 규모별 결정현황’을 근거로 2018년 기준 종부세 최고세율 6%를 적용받는 대상(과표구간 94억원 초과)은 20명이라고 밝혔다. 94억~100억원 3명, 100억원 초과 17명이다. 전체 종부세 납부자 38만3115명 중 0.005%에 그치는 수준이다.

또한 이들 모두 다주택자 기준인 6%의 세율을 적용받는 것이 아니라 2주택 이하(조정지역 2주택 제외) 개인은 3% 세율을 적용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는 납부 대상이 이보다 적을 가능성도 있다. 김 의원은 “종부세 대상자 중 90%가 최고세율 대비 4분의 1 수준의 세율을 적용받는다”며 “최고세율 6% 세금폭탄론은 매우 과장된 주장”이라고 말했다.

100억원 초과 구간의 개인이 보유한 주택 가격은 공시가격 198억5000만원(시가 284억원 수준)으로 인당 2억7800만원을, 94억~100억원 개인은 9800만원을 종부세로 납부했다.

종부세 과세 대상은 전체 국민의 0.7%(38만3115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90%는 종부세가 주택 가격 대비 매우 낮은 수준이다. 납세자의 73%인 27만8000명은 과표 3억원 이하(시가 8억~12억2000만원)에 분포했고, 과표 3억원 초과 6억원 이하 구간(12억2000만~15억4000만원) 납세자는 6만5000명(17%) 정도였다. 6억원 이하 과표 구간에 전체의 90%가 몰려 있는 셈이다. 당시 과표 3억원 미만 납세자의 평균 종부세는 30만원이었으며, 과표 3억원 초과 6억원 이하의 평균 종부세는 160만원이었다.

이에 따라 최고세율은 상징성만 있을 뿐 전체적인 종부세 강화와 조세 형평성 확보에 큰 의미가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 의원은 “현재 종부세는 주택 가격 안정, 주택 투기를 막기에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며 “주택 공시가격 정상화, 구간 세분화, 세율 인상을 통해 종부세를 강화하고 실거주자에 한해 공제 혜택을 주는 것이 옳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