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생명 “심사기일 단축·불완전판매 가능성 감소할 것”
한화생명이 언텍트 트렌드에 맞춰 ‘스마트폰을 활용한 언더라이팅 보완 프로세스’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앞으로 한화생명 고객은 신계약 체결 과정에서 자필서명이 추가로 필요할 경우 재무설계사(FP)를 직접 만나지 않고도 서명을 할 수 있게 됐다.
7일 한화생명은 이번에 내놓은 시스템을 소개하며 코로나19가 불러온 언텍트 트렌드에 맞춰 고객 편의성을 높이고 신속한 보험가입이 이뤄지게 됐다고 설명했다.
통상 보험가입 과정에서 고객이 청약서를 작성한 후에도 신계약 심사(언더라이팅) 시에 다양한 보완 절차가 이뤄진다. 과거 병력, 보험검진결과 등에 따라 청약내용이 변경되거나 고지내용이 부족할 경우 서류를 추가로 작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기존에는 FP가 변경 내용에 대한 고객의 동의(자필서명)를 받기 위해 고객을 직접 대면해야 했다.
앞으론 고객이 본인의 스마트폰 URL 접속으로 보완 내용을 확인하고, 본인 인증(휴대폰, 신용카드, 카카오페이 인증)을 거친 후 스마트폰에 직접 자필서명할 수 있게 됐다. 해당 서류 이미지는 즉시 담당 심사자에게 전송된다.
고객은 이 시스템을 활용해 FP와 일부러 약속을 잡지 않아도 편리하게 서류 작성을 할 수 있게 됐다. 본인 인증 절차를 거치기 때문에 불완전판매의 가능성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심사기일(보험계약 청약~성립까지 소요일)도 상당시간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화생명은 신계약 심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보완은 전체 계약 건의 약 15%(월 평균 약 1만1000건)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FP가 고객을 대면해 서류 보완하는데 필요한 이동시간 등을 건당 평균 2시간으로 가정하면 이번 시스템을 통해 절약되는 시간은 매월 2만2000 시간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종원 한화생명 언더라이팅팀장은 “기존에 운영하던 프로세스에 스마트폰을 활용한 비대면 방식을 새롭게 추가함으로써 고객 선택권 및 편의성 제고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FP 입장에서도 절약된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고객서비스 제고 효과도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