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뱅킹 도입성과와 발전방향’ 세미나 개최
국내 경제활동인구 72% 오픈뱅킹 등록
지난해 12월 전면 도입된 오픈뱅킹 서비스가 출시 6개월 만에 가입자가 4000만명을 넘어섰다. 금융당국은 은행권을 시작으로 연내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으로도 오픈뱅킹 서비스를 확대할 방침이다.
금융결제원은 6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금융위원회·금융결제원·한국금융연구원 주최로 열린 ‘오픈뱅킹 도입성과와 발전방향’ 세미나에서 이같이 발표했다. 오픈뱅킹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모든 은행권의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금결원에 따르면 오픈뱅킹 가입자는 올해 6월 기준 4096만명이며, 등록계좌 수는 6588만 계좌다. 국내 경제활동인구의 약 72%가 오픈뱅킹에 등록한 셈이다. 가입자의 79%, 등록계좌의 64%가 핀테크 기업을 통해 오픈뱅킹을 이용했다.
오픈뱅킹 월간 API 이용건수는 6월 기준 1억9000만건으로 누적 10억5000만건을 기록했다. 업권별 API 이용은 은행의 경우 잔액조회가 84.5%, 핀테크 기업은 출금이체가 82.5%로 이용이 가장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픈뱅킹을 활용한 서비스도 업권별로 차이가 있었다. 은행권은 타행계좌와 연동한 이체·조회 중심의 서비스인 반면 핀테크사는 선불충전을 활용한 간편결제와 해외송금 중심으로 서비스가 이뤄졌다.
세미나에서는 오픈뱅킹을 활용하고 있는 금융사와 핀테크사의 발표가 이어졌다. 신한은행은 그동안 오픈뱅킹과 관련한 서비스 42개를 고객에게 제공했다. 신한은행의 오픈뱅킹 등록 고객수는 202만2000명으로, 거래건수는 지난 6월 기준 유입 424만6000건, 유출 206만건이 발생해 순유입을 기록했다.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는 도입 이후 오픈뱅킹 출금 서비스 이용 비율이 지난해 12월 24.7%에서 올해 1분기 83.4%, 2분기 84.6%로 지속해서 증가했다고 밝혔다.
금융위와 금결원은 이날 세미나에서 논의된 내용 등을 토대로 3·4분기 중 제2금융권의 오픈뱅킹 참여 확대를 위한 오픈뱅킹 고도화 방안을 마련하고 세부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전산시스템 구축, 각 회사와 업권별 준비상황 등을 감안하여 연내 순차적으로 농협·신협 등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저축은행, 금융투자회사, 카드사 등의 오픈뱅킹 서비스를 도입하고 수수료 추가조정, 기능 고도화, 보안 강화 등도 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