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보건복지협회 2020 세계 인구 현황 보고서
0∼14세 인구 비율도 최하위권인데다, 65세 이상 인구 15.8%로 세계 평균보다 높아
우리나라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합계 출산율)가 세계 최하위인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인구에서 0~14세가 차지하는 비율도 최하위권이었다. 반면 65세 이상 노인이 차지하는 비율은 15.8%로 세계 평균보다 크게 높았다.
30일 인구보건복지협회가 유엔인구기금(UNFPA)과 함께 발간한 2020 세계 인구 현황 보고서 한국어판에 따르면 올해 세계 총인구수는 77억9500만 명으로, 지난해보다 8000만 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인구수는 중국이 14억3930만 명으로 가장 많았고 인도(13억8000만명), 미국(3억3100만명) 등의 순이었다. 우리나라 총인구는 5130만 명으로 작년과 동일하게 세계 28위를 기록했다. 우리나라의 2015년∼2020년 연평균 인구 성장률(증가율)은 0.2%로 세계 인구 성장률 1.1%보다 낮았다.
특히 심각한 사회 문제로 꼽히는 저출산, 고령화 문제는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뜻하는 합계 출산율은 1.1명으로 세계 최하위(198위)였다. 세계 평균은 2.4명이었으며, 우리나라보다 출산율이 낮은 국가는 없었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 가운데 0∼14세가 차지하는 비율은 12.5%로, 세계 평균(25.4%)의 절반에 그쳤다. 우리보다 0∼14세 비율이 낮은 국가는 일본(12.4%), 싱가포르(12.3%) 등 2곳에 불과하다. 반면 우리나라에서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15.8%로 세계 평균(9.3%)보다 훨씬 높았다.
김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회장은 “이번 보고서 발간을 계기로 삶의 모든 영역에서 성 평등이 보장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길 바라며, 이를 위해 협회도 성·생식 보건 및 권리 강화를 위한 글로벌 행동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