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시그널 발표···SKT 15.4%, LGU+ 15.1%, KT 12.5%
5G(5세대) 스마트폰을 쓰더라도 국내에서 실제 5G망 연결 시간은 전체의 15%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30일 영국 시장조사업체 오픈시그널 ‘6월 한국 5G 사용자 경험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통신사별 5G 가용성(Availability)을 조사에서 국내 5G망 연결시간은 SK텔레콤이 15.4%였으며 LG유플러스가 15.1%, KT가 12.5%로 뒤따랐다..
가용성은 네트워크의 커버리지(서비스 구역)를 고려하지 않은 개념으로 사용자들이 가장 자주 사용하는 장소에서 네트워크 연결 시간의 비율을 측정한 것이다. 현재 상용화된 5G NSA(비단독모드) 방식은 LTE망과 장비를 공유해 5G가 연결되지 않는 곳에서는 LTE로 전환된다. 실내에서 5G가 연결되지 않으면 대부분의 시간이 LTE 사용 시간이 된다.
5G에 연결됐을 때 모바일 앱과 웹사이트 등을 이용하는 속도는 LG유플러스가 237.2Mbps로 가장 높았으며 SK텔레콤(220.4Mbps), KT(214.8Mbps) 순이었다. 통신사별로 자사 4G 평균 속도와 비교한 5G 속도는 LG유플러스 5.2배, KT 4.8배, SK텔레콤 3.5배로 발표됐다.
5G 이용자의 전반적인 다운로드 속도는 SK텔레콤(110.0Mbps), LG유플러스(95.8Mbps), KT(82.2Mbps)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5G 속도와 5G에 연결되지 않았을 때 이용하는 3G, 4G 속도까지 합쳐 평균을 낸 수치다.
오픈시그널은 "한국에서는 아직 고주파 대역(28GHz)이 상용화되지 않았음에도 매우 빠른 속도의 5G 서비스가 제공된다"며 "비슷한 중간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국가의 5G 속도는 110∼170Mbps 수준"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