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분야 마이데이터 포럼 개최
“소비자 금융편익 극대화 관점에서 추진돼야”

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29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 분야 마이데이터 포럼'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29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 분야 마이데이터 포럼'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오는 8월 본인신용정보관리업(마이데이터) 도입을 앞두고 참여 주체인 금융사와 ICT·핀테크 기업들의 상호주의와 공정경쟁 필요성을 강조했다.

손병두 부위원장은 29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 분야 마이데이터 포럼에 참석해 “금융회사, ICT기업, 핀테크 기업 모두 소비자의 편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상호주의 관점으로 보유하고 있는 소비자 정보를 최대한 개방해야 한다”고 말했다.

손 부위원장은 마이데이터가 성공적으로 도입되기 위해서는 소비자가 중심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마이데이터는 정보주체의 데이터 이동권을 기반으로 기존에 제공하지 못했던 새로운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이라며 “신용관리, 자산관리, 소비와 저축 등 소비자의 금융편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관점에서 추진돼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소비자들이 데이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표준화 작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달라”며 “정부도 규제차익 없이 다양한 분야의 플레이어들이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특별히 관심을 갖겠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손 부위원장은 마이데이터 산업의 확장성을 강조했다. 그는 “오픈뱅킹 등 기존 금융플랫폼과 연계되고 마이페이먼트 등 새로운 플랫폼과도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오픈 파이낸스(Open Finance)를 지향할 필요가 있다”며 “마이데이터를 통해 모인 데이터는 데이터 결합과 유통을 통해 금융 분야뿐 아니라 비금융 분야의 산업혁신까지 이뤄질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데이터 산업의 성패는 해킹, 정보유출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는지에 달려있다”며 “국민들이 안심하고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보안에 더욱 신경 써야 한다”며 강력한 정보보호 등에 대해서도 주문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손 부위원장을 비롯해 신현준 신용정보원장, 김학수 금융결제원장, 김영기 금융보안원장, 허인 KB국민은행장, 최인혁 네이버파이낸셜 대표, 이승건 비바리퍼블리카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는 각각 기업 발표·전문가 토론, 마이데이터 허가설명회로 구성된 세션 1·2로 나뉘어 진행됐으며 금융사 및 핀테크사 참석자들은 주제 발표를 통해 주제 발표를 통해 마이데이터 산업의 확장 가능성, 신기술 기반 서비스 출시 등을 소개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