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 도입시 리스사에 대한 지급 보증 제공

19일 정부 당국에 따르면 이번 주 문재인 대통령이 주재하는 제 5차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항공과 정유 등 기간산업에 대한 대책 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 사진=연합뉴스.
 / 사진=연합뉴스.

항공산업의 장기 경쟁력과 위기 대응능력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항공사가 힘을 합친다.

26일 국토교통부는 국적항공사와 한국·인천공항공사 CEO를 대상으로 간담회를 개최하고 10개 항공사 중심의 ‘항공산업발전조합’을 설립한다고 밝혔다. 10개사는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에어서울 ▲이스타항공 ▲플라이강원 ▲에어인천이다.

항공산업발전조합 설립은 수익자 부담 원칙에 따라 항공사 스스로 조합원으로 참여해 재원조달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재원을 지속적으로 축적할 수 있도록 조합 형태로 설립한다.

다만 현재 항공산업 상황을 감안해 2021~2023년 운영 초기에는 항공사가 마련할 수 있는 재원 규모에 따라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해 정부 출연 여부도 검토할 예정이다.

항공사 출자액은 항공산업 회복에 따라 점진적으로 인상할 수 있도록 항공사와 지속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조합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항공사가 항공기를 도입할 경우 리스사 및 금융기관 융자에 대한 지급 보증을 제공해 항공기 리스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현재 항공사 영업이익의 15%가량을 차지하는 항공기 리스 조달 및 이자비용을 절감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합이 긴급자금 지원역할도 수행한다. 산업 호황시 적립한 조합비를 기반으로 항공사의 경영위기에 경영자금 대출 및 자산 유동화를 지원한다.

아울러 조합을 중심으로 신규 산업과 중소기업에 투자하기 위한 펀드를 조성해 항공산업 내 상생과 생태계 유지를 위한 재원을 마련한다.

김상도 항공정책실장은 “항공산업발전조합은 우리 항공산업의 기초체력과 대외경쟁력 강화를 위한 금융환경조성의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조합 설립을 위해 중요한 것은 항공사들의 의지와 미래를 바라보는 거시적인 관점이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