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 30명 이어 24일 20명 유입···러시아 선박 집단감염으로 위기감 증폭
전문가 “모든 입국자 자가격리 필요, 음성자만 입국 허용” 주장
최근 코로나19의 제2 유행이 우려되는 가운데, 해외유입자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이에 감염병 전문가들은 입국자에 대한 방역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4일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지역사회 31명과 해외유입 20명 등 총 51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 해외유입 20명 중 12명은 입국 검역 과정에서 확진됐다. 검역 이외 나머지 8명(경기, 부산, 대구 각 2명, 경북, 전북 각 1명)은 입국한 뒤 지역 주거지나 임시생활시설 등에서 자가격리 중 확진됐다. 이에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만2535명이다. 이중 해외유입자는 1491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최근 해외유입 사례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실제 코로나19 해외유입 확진자 수를 보면 이달 10일 전까지는 2~8명 수준이었다. 이후 중순 들어 10명 안팎을 기록하다가 지난 23일 신규 확진자 46명 중 30명이 해외유입 사례로 집계됐다.
물론 30명 중 16명은 부산 감천항에 정박 중인 러시아 국적 냉동 화물선의 승선원들이어서 일시적이라는 분석도 일각에서 제기된다. 하지만 이날에도 전날 대비 해외유입자 20명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로 발표됨에 따라 문제의 심각성이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감염병 전문가들은 해외 입국자들에 대한 방역을 강화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엄중식 가천대학교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해외입국자의 경우 경로가 분명하기 때문에 경로 차단이 중요하다”며 “현재 미국과 유럽발 입국자만 2주 자가격리를 하고 나머지 국가는 다른 방식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모든 나라 입국자에 대해 자가격리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엄 교수는 “자가격리 비용을 본인들이 부담토록 하고, 난색을 표하는 입국자들은 본국으로 돌려보내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며 “격리시설 확보 여부도 체크해야 하고, 정부는 해외 입국자를 효율적으로 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우주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지난 2월과 3월에 이어 최근 코로나19 확진자 중 해외 입국자가 늘어난 것은 노동자들 입국이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며 “한국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3개 국가 모두 해외 확진자 유입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해외 입국자에 대한 제한 조치가 다소 느슨해진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며 “검역 현장이 힘든 것은 이해하지만, 코로나19가 유행한 국가 선박이 들어올 경우 검역소 직원들이 승선해 적극적 방역활동을 진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입국 과정에서는 코로나19 검사를 하는데, 자가격리가 끝날 무렵에는 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격리가 끝나는 시점에도 검사를 하는 등 세심한 대책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천 교수는 “해외에서 입국하는 사람들이 대부분 노동자들인데, 그들이 농어촌에 가서 접촉하는 사람들도 대부분 고령자들이어서 위험도가 높다”며 “입국자들의 본국에서 검사를 해 음성으로 확인된 사람들만 입국을 허용하는 등 제한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천 교수는 “한국으로 입항하는 선박에 대해서도 방역을 강화하고, 코로나19 검사는 무료나 최대한 저렴하게 해야 한다”며 “철저한 정부의 방역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정부는 24일 고위험 국가에 대한 승선검역 확대와 항만작업 시 생활방역수칙 실효성 제고 등 항만방역 관리를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하긴 했다”며 “늦긴 했지만 더욱 철저하게 방역해야 코로나19 제2유행의 가능성을 최대한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