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 306보충대 도시개발사업, 현대건설 등 대형사 참여 예고
포스코건설, 8000억원대 ‘캠프 라과디아’ 수주
GS건설, 파주 ‘캠프 스탠턴’ 산업단지 개발···3000억원 규모
대형 건설사들이 수도권 군부대 부지 개발 사업에 속속 뛰어들고 있다. 군부대 부지 개발은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힌 정비 사업보다 진행이 순조롭고, 일반 사업장과 비교해 부지가 넓어 수익성이 큰 편이다. 최근 정부 규제로 주택시장이 위축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여파로 해외 사업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군부대 개발이 틈새시장으로 떠오른 모습이다.
22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의정부시는 옛 군부대 부지인 용현동 ‘306보충대’와 의정부동 ‘캠프 라과디아’에서 도시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 부지에 아파트는 물론 지식산업센터·공공청사·공원·체육시설 등을 조성해 복합공간으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해당 부지들은 시내 요지에 위치해 수익성이 양호하다는 평가다. 그동안 대형 건설사들은 이들 부지를 확보하기 위해 오랫동안 눈독을 들여왔다. 최근 의정부시가 민간사업자 공모에 나서자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의정부시는 용현동에 위치한 옛 306보충대 부지 도시개발사업 민간사업자 우선협상자 공모를 진행하고 있다. 306보충대는 2014년 해체돼 2018년 부대가 완전히 폐쇄되기 전까지 군부대 입영자들이 대기하거나 훈련부대 주둔지 등으로 사용한 곳이다. 도시개발사업은 29만3814㎡ 부지에 공동주택(아파트) 3개 블록과 주상복합 1블록·지식산업센터·체육시설·문화시설 등을 조성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추정사업비는 2500억원에 달한다. 업계에선 현대건설·대림산업·포스코건설 등 대형건설사와 일부 중견건설사들이 이 사업에 참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의정부시는 다음달 중으로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앞서 민간사업자 공모를 실시한 의정부동 캠프 라과디아 부지는 포스코건설 컨소시엄이 우선협상자로 선정됐다. 이 사업은 미군 반환 공여구역인 캠프 라과디아 부지 3만6297㎡에 민간투자방식으로 1350가구 규모 공동주택과 체육공원·공공복합청사 등을 조성하는 도시개발 프로젝트다. 추정 사업비는 8000억원에 달한다. 이번 사업은 의정부시에서 지역 개발에 적극 나서는 데다 사업 규모가 커 대형사들의 참여의지가 높았다. 공모에는 포스코건설 컨소시엄을 비롯해 대우건설·호반건설·현대엔지니어링,HDC현대산업개발 등이 경쟁을 펼쳤다.
파주시에선 미군 기지 반환 구역 ‘캠프 스탠턴’(87만㎡)을 산업단지로 개발할 예정이다. 광탄면 신산리에 위치한 캠프 스탠턴은 1953년 주한미군에 공여돼 항공·기갑부대가 주둔한 곳이다. 2004년 미군 부대가 철수한 뒤로는 2007년 4월 국방부에 반환했다. 파주시는 2015년 캠프 스탠턴에 대해 민간사업자를 공모했지만 응모 기업을 찾지 못했다. 하지만 광역급행철도(GTX-A) 노선과 서울~문산 고속도로 개통이 예정되면서 기업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지난해 7월 진행된 민간사업자 공모에는 53개사가 사업 의향서를 접수했고, GS건설 컨소시엄이 우선협상자로 선정됐다. 파주시와 GS건설 컨소시엄은 지난 10일 해당 부지 개발을 위한 협약 체결을 완료했다. 이곳엔 970가구 규모 단독·공동주택용지와 제조·물류·방송시설 등이 조성될 계획이다. 총 사업비는 3000억원에 달한다. 완공 예정일은 2015년이다.
지난해 캠프 스탠턴과 함께 월롱면 영태리 ‘캠프 에드워즈’의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된 현대엔지니어링 컨소시엄도 조만간 파주시와 협약을 맺을 예정이다. 현대엔지니어링 컨소시엄은 63만㎡ 부지에 578억원을 들여 5900가구의 단독·공동주택용지 등의 도시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파주시는 문산읍에 위치한 ‘캠프 자이언트’(69만㎡)와 ‘캠프 개리오언’(48만㎡)도 올해 하반기에 공모를 진행해 사업자를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이외에도 경기도 내 21개 구역에선 9조원 규모 77개 주한미군 반환공여구역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각종 악재로 국내·외 건설업황이 악화된 속에서 일감 확보를 위한 대형건설사들의 발길은 지속될 전망이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도내 대형 도시 개발은 안정적인데다가 사업비가 많게는 수조원에 달하는 지역도 적지 않다”며 “정부의 규제로 주택시장이 위축된 만큼 군부대 개발 사업에서 실적을 만회하려는 대형 건설사들이 움직임은 더욱 분주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