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실직, 정규직의 6.6배···실직자 76% “실업급여 받은 적 없다”
시민들 ‘정규직 확대·비정규직 보호, 원청 사용자 책임 강화’ 제기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실직과 소득 감소가 비정규직, 여성, 비사무직, 저임금 노동자에 집중됐다.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지난 5∼10일 직장인 1000명을 상대로 '코로나19 6개월 직장생활 변화'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해 22일 발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 포인트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6개월간 본인의 의지와 무관하게 실직을 경험했다는 직장인은 12.9%였다. 이 가운데 비정규직은 26.3%가 실직을 경험해 정규직(4%)보다 6.57배 높았다. 사무직(4.6%)과 비사무직(21.2%), 고임금노동자(2.5%)와 저임금노동자(25.8%), 남성(9.8%)과 여성(17.1%)도 차이를 보였다.
실직 사유로는 비자발적 해고(28.7%)와 권고사직(27.9%)이 가장 높았다. 자발적 퇴사가 18.6%, 계약 기간 만료가 17.8%, 업무감소가 7%로 나타났다.
6개월 간 실직을 경험한 응답자들 중 76%가 실업급여를 ‘받은 적 없다’고 응답했다. 실업급여를 받지 못한 이유로는 ‘고용보험에 가입되지 않았음’이 50%로 가장 많았다.
또한 세 명 중 한명(32.6%)은 현재 월 소득이 6개월 전과 비교해 줄었다고 응답했다. 이 역시 비정규직, 여성, 서비스직, 저임금노동자 일수록 소득이 줄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이 줄었다고 응답한 이들 가운데 비정규직이 52.8%로 정규직(19.2%)에 비해 2.7배 이상 높았다. 비정규직 내에서도 프리랜서·특수고용이 67.6%로 가장 높았다. 이어 일용직(60%), 아르바이트 시간제(51.8%) 임시직(40.8%) 순이었다.
소득이 감소한 이유는 노동시간이 줄어서가 46.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가구소득이 줄었다는 응답은 40.1%로 직장인 10명 중 4명이 가구소득 감소를 경험했다. 가구소득 감소 역시 비상용직(59%), 비사무직(53%)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회사에서 자유롭게 연차휴가를 사용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63.0%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반면 비정규직은 50.8%인 절반만이 자유롭게 쓰고 있고, 49.3%는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서비스직 49.6%, 저임금노동자 55.3%, 여성은 45.7%가 연차휴가를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한다고 대답했다.
이번 조사 결과 정부의 코로나 생활방역 수칙(아프면 3~4일 쉰다)이 무급일 경우 응답자의 46.1%기 ‘집에서 쉰다’고 응답했다. ‘출근한다’는 응답은 32.9%였다. 몸이 아프면 쉬고 국가가 수당을 지급하는 '상병수당' 도입에 대해 응답자의 89.1%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또한 코로나19로 이후 달라져야 할 사회의 지향으로 ‘정규직 일자리 확대 및 비정규직 보호가 필요하다’는 답변이 90.9%로 가장 높았다. ‘원청업체의 사용자 책임 강화’(89.6%), ‘마스크 등 공공재에 대한 정부 통제 필요’(88.7%) 등에도 대다수가 동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