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후버댐 빗대 설명···댐 건설과정에서 수많은 일자리 창출
데이터 댐 만들면서 일자리 생겨날 것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강원도 춘천에 위치한 빅데이터 플랫폼 운영기업인 더존비즈온을 방문해 디지털 뉴딜에 대해 설명했다. /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강원도 춘천에 위치한 빅데이터 플랫폼 운영기업인 더존비즈온을 방문해 디지털 뉴딜에 대해 설명했다. /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디지털 뉴딜을 미국 후버 댐에 빗대어 설명했다. 후버댐을 짓는 과정에서 수많은 일자리가 창출됐고 강물을 가뒀다 필요한 곳으로 흘려보내며 산업화를 이뤘듯이, 디지털 뉴딜도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가공하는 과정에서 일자리가 생겨나고 산업이 발전한다는 것이다.

18일 문 대통령은 강원도 춘천의 데이터 및 인공지능 전문기업 ‘더존비즈온’의 강촌 캠퍼스를 방문해 한국판 뉴딜 개념에 대해 말했다.

문 대통령은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이 채택한 뉴딜의 한 축은 대규모 공공 토목사업으로 일자리를 만드는 것”이라며 미국 뉴딜의 상징인 후버댐을 언급했다.

그러면서 “많은 물을 모은 다음 수문으로 내려보내면 발전, 산업용수, 식수로 쓰기도 하고 가뭄조절도 한다”며 “댐을 짓는 과정에서 수많은 일자리가 생겨나고, 완공하면 관련 산업에서도 일자리가 생긴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한국판 뉴딜도 같은 취지라고 부연했다. 디지털 뉴딜은 디지털 경제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 활용을 최대한 활성화하기 위한 ‘데이터 댐’을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데이터 댐에는 공공·민간 네트워크를 통해 생성되는 데이터들이 모이게 되고, 수집된 데이터를 표준화·결합·가공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일자리가 생겨난다는 것이다. 또 인공지능이 기존 산업을 스마트화하고 혁신산업과 혁신 서비스를 만들어 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디지털 뉴딜이 성공한다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경제를 다른 나라들보다 앞서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