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엑세럴레이터 네오플라이의 권용길 대표 연사로 참석
사용자 경험에의 집중과 투자 네트워크 중요성 역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해서도 첨언 "살림에 보탬되는 아이템 개발해야"

권용길 네오플라이 대표가 18일 서울 그랜드하야트에서 시사저널e가 주최한 스타트업포럼2020 행사에서 '네오플라이가 만난 일상을 혁신하는 스타트업들'이라는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사진=강수지PD
권용길 네오플라이 대표가 18일 서울 그랜드하야트에서 시사저널e가 주최한 스타트업포럼2020 행사에서 '네오플라이가 만난 일상을 혁신하는 스타트업들'이라는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사진=강수지PD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글로벌 산업 전반을 변화시키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 등 비대면 문화가 확산하며 오프라인 기반 사업들이 어려움에 봉착한 상황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해서는 어떤 자세를 가져야 할까. 

권용길 네오플라이 대표는 18일 서울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시사저널e가 주최한 스타트업포럼2020에서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맞이하는 기업의 과제에 대해 "당장은 작더라도 현금을 창출할 수 있는, 체력을 키울 수 있는 아이템을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인 네오플라이의 권 대표는 이날 자리에서 회사가 그간 만났던 다양한 스타트업들의 사례를 공유했다. 권 대표는 "진입장벽도 낮고, 특별한 기술도 없는 업체가 있었다. 투자를 결정하면서도 성공 가능성에 대해 반신반의했다"고 말했다. 해당 스타트업은 기업 사무실과 행사 등에 과자 등 주전부리를 제공, 큐레이션하는 스낵포다.  

권 대표는 투자 요청을 받았던 당시를 회상하며 "스낵포와 투자 유치를 두고 경쟁을 벌였던 업체는 기성 과자를 큐레이션하는 스낵포와 달리 웰빙 너츠류를 제공하는 업체였다. 당시에는 너츠 제공 업체의 성장세가 더 가파를 것이라고 생각했다"면서 "그러나 결과는 달랐다. 사람들은 건강보다는 달고 맛있는 기성 과자 큐레이션에 반응했고, 스낵포의 매출은 가파르게 늘었다"고 말했다. 

권 대표는 이같은 사례를 제시하며 사용자 경험과 업의 본질에 대해 회사가 고민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권 대표는 "소비자가 무엇을 원하는 지 들여다보는 일이 중요하다. 아직 해당 시장 경쟁은 치열하지만 지금은 스낵포 대표의 가설과 생각을 믿는다"고 말했다.

또다른 예는 집토스다. 세입자에게 수수료를 받지 않는 부동산 스타트업 집토스의 예를 들며 권 대표는 네트워킹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집토스는 2016년 네오플라이의 투자를 받은 이후, 2017년 네오플라이가 소개한 앤젤투자자로부터 1억원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이후 2018년에는 벤처캐피탈 3곳으로부터 9억원의 투자를 받았고, 2019년에 앞선 앤젤투자자가 투자회수에 성공했다. 

권 대표는 "혁신 스타트업이 살아남으려면 적절한 시기의 자본 공급이 필수적이다. 투자사의 투자가 없었다면 오늘날의 집토스는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앞둔 현재, 기업들이 작지만 내실 있는 사업 아이템을 키워나가야 한다고도 역설했다.

권 대표는 "긴 호흡으로 사업을 이끌어야 한다"면서 "작지만 기업의 살림살이에 보탬이 되는, 회사의 주력 아이템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으면서도 현금을 창출할 수 있는 아이템들을 실행하면서 작은 성공을 거두는 모습들이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