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급결제부문, 카드업계가 결코 놓칠 수 없는 영역”
김주현 여신금융협회장이 “최근 핀테크 간편결제의 부상 등 경쟁 환경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카드업계는 앞으로도 지급결제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카드산업이 핀테크 부문에서 더 발전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회장은 17일 취임 1주년 인사말에서 “디지털, 언택트 경제 등으로 특징지어지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우리 카드산업이 핀테크사보다 더 핀테크스럽게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리 카드업계가 그간 보여준 혁신 DNA를 믿고 있다”며 “이런 혁신 DNA가 뿜어져 나와 카드사가 금융혁신에 있어 패스트 팔로워(Fast-follower)가 아닌 퍼스트 무버(First mover)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핀테크사와의 공정한 경쟁 여건 조성에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마이데이터 사업의 구체화 과정에서 카드사들의 고품질 데이터가 시장 개척과 경쟁력 확보에 잘 활용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또 김 회장은 “그간 지급결제시장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던 만큼 카드수수료 제도 전반에 걸침 논점을 재정리하여 향후 적격비용 재산정이나 카드수수료 관련 논의 제기 시 업계의 합리적 의견이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해 나가겠다”고 했다.
캐피탈 분야와 관련해서는 “포스트 코로나 이후 언택트 시대에 대비해 캐피탈업계의 생존전략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공유하겠다”며 “해외 주요 캐피탈사의 사례를 연구하여 시사점을 찾아내고, 국내 캐피탈사의 디지털 강화와 데이터 수집 및 활용방안도 제시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구독·공유경제에 기반을 둔 새로운 형태의 리스·렌탈 사업모델을 찾아 캐피탈사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회장은 금융보안을 강화해 여신전문금융업계의 이미지 제고와 신뢰 확보에도 힘쓰겠다고 밝혔다. 그는 “디지털화에 따른 금융보안에 있어 업계와 금융보안원 등 관련 기관과 협조해 금융사고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도록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여신금융협회의 조직 정비에도 나선다. 지원본부장을 신규로 선임해 국회와 언론 대응을 전담하도록 하고, 캐피탈·신기술금융 담당 본부장은 업계 업무에만 전담하게 할 방침이다. 또한 법무팀을 신설해 주요 입법 추진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