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문장 이상 임원 대상···3개월간 20% 자진반납 선언

홈플러스 강서 본사 전경. / 사진=홈플러스
홈플러스 강서 본사 전경. / 사진=홈플러스

홈플러스가 창립 이래 최초 임원들의 급여를 자진 삭감한다.

17일 홈플러스는 서울 등촌동 본사 사옥에서 열린 임원회의에서 부문장 이상 임원들이 3개월 간 급여의 20%를 자진 반납키로 결의했다고 밝혔다.

통상 오너 기업에서의 임원 급여 반납 사례는 종종 진행되지만, 전문경영인이 운영하는 기업에선 흔치 않은 일이다. 홈플러스에선 지속되는 규제와 유통경기 불황 등으로 2017년 회계연도 이후 사장 이하 모든 임원들의 급여는 매년 동결돼 왔고 성과급도 지급하지 않고 있다.

홈플러스는 2019회계연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각각 4.69%, 38.39% 감소한 7조3002억원, 1602억원을 기록했다. 당기순손실은 5322억원으로 창사 이래 가장 큰 규모의 손실이다.

홈플러스는 지속되는 경기침체와 유통규제, 이커머스의 급격한 성장에 이어 코로나19 악재까지 겹치면서 올해도 이 같은 불황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홈플러스는 매년 3월 연중 가장 큰 규모로 진행하던 창립기념 프로모션은 올해 코로나19 여파로 진행하지 못했고, 정부가 전 국민에게 지급한 긴급재난지원금의 사용처에서 대형마트가 제외되면서 점포를 찾는 고객도 급격히 줄었다.

이 같은 상황에서 홈플러스는 3개 내외의 점포를 대상으로 자산유동화 진행을 검토하는 등의 유동성 확보를 위한 고육지책을 내놓고 있다. 전 직원들의 고통을 분담하고 위기를 극복하겠다는 강한 의지로 이번 임원들의 급여 자진 반납도 결정했다.

다만 일부 오프라인 점포가 폐점되더라도 온라인 등 주력사업부서나 타 점포로 전환 배치해 정규직 직원으로서의 고용은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온라인 사업에는 더 큰 힘을 실어주고, 오프라인 마트를 떠난 고객들의 발길을 되돌릴 수 있는 다양한 방법도 모색하고 있다.

임일순 홈플러스 사장은 “오프라인 유통 시장의 침체기 속에 2만2000명 임직원과 그 가족들이 받고 있는 고통을 함께 분담하자는 차원에서 임원들과 함께 급여 자진 반납을 결정했다”면서 “큰 위기 뒤에는 반드시 기회가 온다는 믿음을 갖고 사장부터 사원까지 모든 홈플러스 식구들의 힘을 한데 모아 이 위기를 극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