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조 금융지원 프로그램 가동
올해 300억달러 프로젝트 수주 목표
정부가 총 1000억달러 상당의 해외 대형 프로젝트 수주에 참여한다. 정부는 30건의 핵심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올해 300억달러 상당의 물량을 수주할 예정이다.
정부는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 등을 담은 해외수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사업의 경제적 효과, 지역 다각화, 수주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현재까지 발굴된 프로젝트 중 30건을 핵심 프로젝트로 선정했다. 이 가운데 올해 수주할 물량은 300억달러에 달한다.
이날 홍 부총리는 “2년 내 수주 가능성이 높고 중요성이 큰 합계 총사업비 1000억달러 규모의 해외 핵심 프로젝트 30개를 선정해 최대한 수주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관리하고 지원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핵심 프로젝트는 인프라나 건설, 플랜트 등 대형 사업 중심으로 편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정부와 공공기관, 민간이 ‘팀 코리아(Team Korea)’가 돼 수주전을 펼치는 개념을 제시했다.
기재부를 중심으로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 등이 참여하는 해외수주지원협의회를 열고 필요하면 수주지원단을 현지 파견할 방침이다.
해외 수주를 확대하기 위한 15조원 상당의 금융지원 프로그램도 가동한다. 우선 30개 핵심 프로젝트 지원을 위한 3조7000억원 상당의 금융지원은 준비됐다.
플랜트·건설·스마트시티 등 대규모 프로젝트를 뒷받침할 수 있는 글로벌 플랜트건설스마트시티(PIS) 펀드 자펀드 1조5000억원, 글로벌 인프라펀드(GIF) 4000억원, 수출입은행과 무역보험공사의 금융지원 프로그램 1조8000억원 등이다.
10조9000억원 상당의 정책금융기관 보증·대출, 경협증진자금 등도 대규모 해외수주전에 투입할 수 있도록 배정해뒀다.
홍 부총리는 “정부의 해외 수주 노력을 통해 코로나19 사태 등에도 불구하고 올해 수주목표 300억달러(약 36조원)가 달성되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