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대출 확대 영향
가계대출은 3조6000억원 증가 그쳐···주택 매매 수요 감소 원인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인근에 설치된 현금자동입출금기(ATM)에 한 시민이 들어가고 있다 . / 사진=연합뉴스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인근에 설치된 현금자동입출금기(ATM)에 한 시민이 들어가고 있다 . / 사진=연합뉴스

코로나19 사태 여파로 은행권의 기업대출이 최대폭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대기업 대출은 증가세가 꺾였지만 중소기업 대출은 여전히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1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0년 5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5월 말 은행권의 기업대출은 전달보다 16조원 늘었다. 5월 기준으로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증가 규모다.

5월 대기업 대출 증가 규모는 4월(11조2000억원)보다 크게 줄어든 2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중소기업 대출 증가 규모는 4월(16조6000억원)에 이어 5월도 13조3000억원을 기록하며 빠른 증가세를 보였다. 

한은에 따르면 대기업 대출은 운전자금 및 유동성 확보 수요 둔화, 회사채를 통한 자금 조달 여건 개선 등으로 증가 규모가 큰 폭으로 준 것으로 분석된다. 

중소기업 대출은 중소법인·개인사업자의 운전자금 수요, 정부·은행의 지원 등으로 높은 증가세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5월 말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은 전달 대비 5조원 늘어난 920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5월 가계대출 증가 폭은 4월(4조9000억원)과 비슷했다.

주택담보대출은 3조9000억원 늘었다. 4월(4조9000억원)보다 증가 폭이 줄었다. 주택 매매·전세 관련 자금 수요가 둔화한 데 따른 것이다. 

서울 아파트 매매량은 3월 4000호에서 4월 3000호로 줄었다. 같은 기간 경기도에서는 1만6000호에서 1만2000호로 감소했다.

일반 신용대출, 마이너스통장 대출 등을 포함한 기타대출은 4월 들어 전달 대비 1000억원 감소했으나 5월엔 한 달 동안 1조2000억원 늘었다.

한은 관계자는 “가계의 소비지출 둔화 흐름이 이어지고 있으나 가정의 달과 관련해 계절적 자금 수요 등으로 기타대출이 증가세로 돌아섰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