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 이후 첫 입장 밝혀···“기부금 통합 시스템 구축, 투명성 근본적 강화”
“이용수 할머니, 위안부 운동의 역사”···“위안부 운동 부정·대의 손상 시도는 옳지 않아”

문재인 대통령이 8일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8일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이른바 ‘윤미향·정의기억연대 논란’과 관련해 “시민단체의 활동 방식이나 행태에 대해서도 되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특히 이는 해당 논란에 대한 첫 입장을 밝힌 것으로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8일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정부는 이번 논란을 계기로 기부금 통합 시스템을 구축해 기부금 또는 후원금 모금 활동의 투명성을 근본적으로 강화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 논란을 시작한 이용수 할머니에 대해서는 “위안부 운동의 역사”라며 “우리는 위안부 할머니가 없는 위안부 운동을 생각할 수 없다. 위안부 할머니들은 누구의 인정도 필요 없이 스스로 존엄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위안부 운동 자체를 부정하고 운동의 대의를 손상시키려는 시도는 옳지 않다”며 “피해자 할머니 존엄과 명예까지 무너뜨리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위안부 운동의 대의는 굳건히 지켜져야 한다”며 “인류 보편의 가치를 지키려는 숭고한 뜻이 훼손돼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이어 “‘비 온 뒤에 땅이 굳는다’는 말이 있다”며 “지금의 논란과 시련이 위안부 운동을 발전적으로 승화시키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