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등교 개시일보다 99일 늦어져
순차 등교가 마지막 단계까지 진행되면서 모든 초‧중‧고등학생들이 등교를 완료했다. 8일 초등학교 5∼6학년과 중학교 1학년생 약 135만명이 코로나19 사태 이후 처음으로 등교를 마쳤다.
교육부에 따르면 이날 중1, 초5∼6학년생이 마지막으로 등교 수업을 시작했다. 이들 학년은 지난달 20일 고3, 27일 고2·중3·초1∼2·유치원생, 이달 3일 고1·중2·초3∼4학년에 이어 마지막으로 등굣길에 올랐다.
이로써 순차 등교는 19일 만에 매듭지어졌다. 이날 등교한 중1·초5∼6학년은 원래 등교 개시일이던 3월 2일 이후 99일 만에 등교 수업을 시작하게 됐다.
교육부는 학생들을 분산하기 위해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큰 수도권 유치원‧초·중학교에 등교 인원을 전체 학생의 3분의 1, 고등학교는 3분의 2로 제한하는 밀집도 기준을 적용했다. 다른 지역 학교는 등교 인원을 전체 학생의 3분의 2 밑으로 유지해달라고 권고했다.
코로나19 사태로 특히 큰 타격을 받은 대구·경북 지역 학교는 대부분 등교 인원을 3분의 1 이하로, 나머지 지역 학교에서는 3분의 2 밑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교육부는 파악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교육부는 학교 밖 감염을 차단하기 위해 학생들에게 PC방, 노래방, 학원 등 다중이용시설 방문 자제를 당부하고 있다. 교육부·교육청·지방자치단체는 학원이 방역 수칙을 제대로 지키는지 현장 점검도 강화하고 있다.
한편 코로나19 영향으로 등교를 중단하거나 연기한 학교는 지난달 말 800곳이 넘었다가 지난주 500여곳으로 줄었다. 쿠팡 물류센터발 집단 감염으로 고3을 제외하고 오는 10일까지 등교를 중단·연기한 경기 부천, 인천 부평·계양 지역 학교 493곳이 문을 열면 등교 수업 조정 학교는 많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