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3 제외 최소 주1회 등교해야”···격주등교 ‘5부제’ 오전·오후 ‘2부제’ 등 권고

18일 서울 용산고등학교 3학년 교실. 등교수업을 앞두고 교실에 코로나19 학교 대응 매뉴얼이 부착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18일 서울 용산고등학교 3학년 교실. 등교수업을 앞두고 교실에 코로나19 학교 대응 매뉴얼이 부착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시교육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사태를 맞아 초·중·고 각 급 학교에 적용될 등교수업 운영방안을 확정했다. 고등학교 3학년생들은 오는 20일부터 매일 등교하며, 고2 이하 학생들은 학교 사정에 맞게 탄력적으로 등교를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18일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등교수업 운영방안을 발표했다. 대학입시·취업 등을 준비해야 하는 고3의 경우 예년과 같이 정상적인 등교를 주문했지만, 나머지 학년들에 대해서는 등교수업과 원격수업을 겸하는 다양한 등교방식을 권장했다.

고3을 제외한 초·중·고생들은 최소 주1회 이상 등교를 해야 한다. 이 같은 방법을 골자로 각 학교별 사정에 맞게 학사운영을 결정하라는 것이 서울시교육청 지침이다. 구체적인 권장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한 주씩 학년·학급별로 번갈아가며 등교를 하는 ‘5부제’와 오전·오후반으로 나눠 수업을 실시하는 ‘2부제’ 방안 등을 제안했다.

초등학생들의 경우, 학부모 등의 판단아래 최장 34일간 집에 머물 수 있도록 한시적으로 허용했다. 당초 초등학생 교외체험학습 허용일은 연간 19일이다. 이를 한 달 이상으로 늘려 ‘가정학습’을 사유로 출석을 인정받게 유도했다. 유치원의 경우 교육부 지침에 따라 원격수업과 등원수업을 병행토록 했다.

등교를 시작하는 날짜도 상이하게 조정해 쏠림을 방지했다. 20일부터 등교를 시작하는 고3에 이어 오는 27일에는 유치원생, 초등학교 1·2학년, 중3, 고2 등의 등교가 개시된다. 내달 3일에는 초등학교 3·4학년과 중2·고1이, 8일에는 초등학교 5·6학년생과 중1이 각각 등교한다. 이를 앞두고 학교당 1대씩 열화상 카메라를 설치해 매일 두 번(등교·급식) 발열검사를 실시한다.

교육부는 개학을 앞두고 열화상 카메라와 마스크의 경우 학생 1명당 5매, 교직원 1명당 3매씩 구매해 일선 학교에 발송했다. 학생들의 경우 등교수업 1주일 전부터 건강상태를 자가진단 해 온라인으로 제출해야 하며, 발열검사에서 37.5도 이상의 열이 있거나 발열감이 있는 학생·교직원 등은 등교·출근해선 안 된다.

학교 내 발열검사 등을 통해 의심증상이 발견될 경우 곧바로 선별진료소에서 검사를 받게 했다. 등교수업 후 학교 내 확진자가 1명 이상 발생할 경우 모든 학생·교직원은 즉시 귀가조치 되며 등교수업 역시 재차 원격수업으로 전환될 계획이다. 또한 급식 중 학생 간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시간을 달리하거나 한 방향 앉기, 띄어 앉기 등을 주문했다.

한편, 학교시설 개방도 제한을 뒀다. 실내시설의 경우 잠정적으로 전면 개방이 중지된다. 다만 실외시설의 경우 주말·공휴일 등에 한해 개방을 허가했다. 이 밖에도 서울시교육청 측은 등교수업 이후 생활지도와 방역활동지원 등을 위해 별도의 지원인력을 배치할 계획이다. 배치될 인원은 1개교 당 유치원 1명, 초등학교 5명, 중학교·고등학교 3명, 특수학교 5명 등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