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자구안 확정제출···신재생에너지 등 미래기술 중심 사업재편 계획도
두산그룹이 두산중공업 조기정상화를 위해 3조원 이상의 자구노력을 펼친다.
27일 두산그룹은 최종 자구안을 채권단에 전달했다고 알렸다. 최종 자구안은 지난 13일 제출한 자구안에 대해 채권단과 논의를 거쳐 수정·보완됐다. 자산매각·제반비용축소 등 자구노력을 통해 3조원 이상을 확보하겠다는 뜻이 담겨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회사 측은 “두산중공업 재무구조를 엄격한 수준으로 개선하고, 이를 발판으로 두산중공업 경영의 조기 정상화를 추진할 계획”이라며 “이를 위해 각 사별로 이사회 등 필요한 절차를 거쳐 유상증자, 자산 매각 등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시사했다.
두산중공업은 유상증자 추진 및 제반 비용 축소를 위한 고강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비핵심 자산 매각을 진행할 예정이다. 모회사이자 그룹 지주사 ㈜두산은 두산중공업의 자구노력을 최대한 지원하며, 이를 위해 자산매각 및 두산중공업 증자 참여를 추진할 예정이다. 그룹 오너일가 중심의 대주주들은 책임경영 차원에서 사재로 두산중공업 출자를 계획하고 있다.
특히 대주주들의 경우 배당·상여금 등을 일체 받지 않고 급여를 대폭 반납하기로 뜻을 모았다. 두산그룹 대주주는 지난 3월 말 긴급운영자금 요청 시 채권단에 보유주식을 담보로 제공한 바 있다. 이에 그룹 측은 “증자, 자산매각 등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추후 이사회 등 절차를 거쳐 결정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재무구조 개선과 더불어 사업구조 재편에도 힘을 쏟는다. 두산중공업은 미래 혁신기술 사업에 역량을 집중키로 하고 가스터빈 발전사업, 신재생에너지 사업 등 두 분야를 사업 재편의 큰 축으로 세웠다. 두산중공업 관계자 “친환경 미래형 고부가가치 사업인 두 사업을 주축으로 삼겠다”고 설명했다.
두산중공업은 지난해 세계 5번째로 가스터빈 독자개발에 성공했다. 한국형 가스터빈은 현재 성능시험 중이며 실증화 작업을 거쳐 시장에 선보일 계획이다. 가스터빈 사업은 부품교체 및 유지보수 수요가 많은 특징 때문에 안정적 매출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이번 가스터빈 독자 개발 과정에서 얻게 된 특수금속소재 3D프린팅 기술을 토대로 한 신사업도 추진된다.
세계 가스터빈 발전시장 규모는 2018년 기준 97조원이며 2035년에는 2배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회사 관계자는 “항공기 부품, 방위산업에 필요한 고부가가치 제품 등 신규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장할 것”이라며 “이와 더불어 풍력·에너지저장장치(ESS) 등 기존사업을 확대하고 친환경 에너지 개발 및 수소산업에도 진출하겠다”고 포부를 드러냈다.
두산그룹은 “두산중공업을 조기에 정상화시켜 채권단 지원 자금을 신속히 상환할 것이며, 수출과 내수 진작을 통해 국민경제에 기여하는 기업 본연의 역할을 다하도록 대주주 및 전 임직원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