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침략에 맞서 의병 활동···충주성 점령
제천 전투서 순국···“의로운 싸움은 지더라도 이기는 것이요, 죽더라도 영광스러운 것이다”
2020년 대한민국은 임시정부 수립과 3.1 운동 101주년을 맞았다. 1910년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우리 민족은 끊임없이 항일독립운동을 했다. 1919년 3월 1일 전국 방방곡곡에서 남녀노소 모두 일어나 만세운동을 했다. 다음 달인 4월 11일 독립운동가들은 중국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당시 대한민국 임시헌장 제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한다’다. 이는 우리 민족의 자주 독립과 민주주의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준다. 시사저널e는 임시정부 수립과 3.1운동 101주년을 맞아 국가보훈처 자료를 바탕으로 독립운동에 헌신했던 사람들의 삶을 기사화한다. 특히 대중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독립운동가들을 중심으로 조명한다. [편집자 주]
안승우(安承禹) 선생은 선비로서 일제 침략에 맞서 의병 활동에 나섰다. 선생과 의병들은 관군 및 일제와 수차례 전투를 했다. 불리한 상황에서도 의지를 갖고 충주성을 점령했다. 관군은 의병 해산을 요구했지만 선생과 의병들은 일제와 결탁한 집권세력이 개화정책을 실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결코 의병을 해산할 수 없다며 거부했다. 제천 전투 중 순국한 선생의 뒤를 이어 아들 안기영이 의병 활동을 이어갔다.
안승우 선생은 경기도 지평(砥平)의 상동(양평군 양동면 석곡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안종응은 의리와 명분에 따라 행동하는 선비였다. 안승우 선생이 나라를 구하기 위한 항일 의병에 몸을 던진 것은 아버지의 가르침과 지도가 뒤에 있었다.
선생이 10세 때 종들이 집안의 곡식을 훔쳐 달아난 일이 있었다. 선생은 이 광경을 목격하고도 한참 시간이 흐른 뒤에야 “즉시 발각해 그 죄를 명백히 드러내면 우리 집안의 체모도 함께 손상될 것이니 역시 수치스런 일입니다. 지금부터는 의당 세밀하게 살펴 처음부터 막아야 할 것입니다”며 그 사실을 알려 경계했다.
선생은 한 때 벼슬길에 뜻을 둔 적이 있었으나 출세를 단념하고 공부에 전념했다. 선생은 지평의 이름난 학자인 금계(錦溪) 이근원(李根元)의 문하에 들어가 공부했다. 21세가 된 1885년부터는 이항로의 적통을 이어받은 대학자 성재(省齋) 유중교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 일제 침략에 맞서 의병으로 거듭나다
1876년 일제는 조선의 문호를 강제로 개방시키고 침략의 강도를 높여갔다. 특히 일제는 1894년 동학농민전쟁을 계기로 청일전쟁을 일으키면서 침략을 본격화해갔다.
청일전쟁 개전 직전인 1894년 6월 21일 일본군이 경복궁을 무단 점거한 갑오변란이 일어나자 안승우 선생은 의병을 일으키려고 결심했다. 선생은 유중교 문하에서 함께 공부한 서상렬(徐相烈), 이범직(李範稷) 등 동문들과 의병을 일으키려 했으나 주위의 만류로 중지했다. 그 뒤 1895년 3월 변복령(變服令)이 공포돼 전통 옷 대신 ‘양복(洋服)으로 바꾸어 입게 했다. 1895년 8월에는 일본 낭인들에 의해 명성황후가 시해되고 11월에는 상투를 자르게 한 단발령이 공포됐다.
이에 이춘영과 김백선은 지평 포군 400명을 동원해 안창(원주시 지정면 안창)에 집결했다. 이춘영의 장인 김응수는 군비를 마련했다. 장담에 있던 안승우 선생은 아버지로부터 거의를 위해 안창으로 오라는 연락을 받았다. 이에 선생은 이범직(李範稷), 원철상(元澈常), 신지수(申芝秀) 등 동지들을 안창에 모이도록 통지하고, 자신도 안창으로 가 의병에 참여했다.
의병들은 곧바로 원주로 내려와 군청을 공격하고 무기를 빼앗았다. 군수 이병화는 황급히 도망갔다. 이어 의병들은 제천을 점령했다. 제천군수 김익진도 도망갔다.
제천에 입성한 의병들은 편제를 갖추고 이순신 장군의 후손인 이필희(李弼熙)를 의병장으로 삼고, 서상렬(徐相烈)을 군사(軍師), 이춘영(李春永)을 중군장, 김백선을 선봉장으로 삼았다. 이때 안승우 선생은 군중 사무를 총괄하는 군무도유사(軍務都有司)를 맡았다. 이필희는 격문을 발포해 전 국민에게 의병에 대한 지지와 응원을 호소했다. 많은 사람들이 이에 공감했다.
의병들은 단양으로 이동해 군수 권숙(權潚)을 붙잡아 처단했다. 단양까지 함께 행군했던 안승우 선생은 일부 군사를 거느리고 제천으로 돌아왔다. 의병의 근거지인 제천을 지키고 그 일대에서 군사를 모으기 위해서였다.
이필희가 이끈 의병 본진은 1월 22일 지금은 충주호 나루터로 변한 단양 장회협(長匯峽)에서 공주병참 소속의 관군 1개 중대를 맞아 승리했다. 이때 제천에 주둔해 있던 안승우는 제천군수 정영원이 새로 부임하게 되자 주천(酒泉)으로 진을 옮겼다.
이후 1896년 2월 8일 안승우, 이필희, 서상렬, 이춘영 등은 유인석을 의병대장에 추대했다. 안승우는 전군장을 맡았다.
의병들은 충주를 공략할 준비를 했다. 당시 제천의병은 단양군수 권숙, 청풍군수 서상기(徐相耆) 등 소위 토착왜구들을 참수해 단죄했다. 이는 개화정책을 지지하던 관리들에게 경종을 울려 각성을 촉구한 것이다.
당시 충주에는 관군 400명을 비롯해 일본군이 다수 집결해 있었다.
◇ 의병들 충주성 점령하다
원주 방면으로부터 승지 우기정(禹冀鼎)과 이호승(李鎬承)이 각각 민병 3000명과 500명을 원조해 왔다. 그러나 그 가운데 총을 가진 자는 400명에 불과해 충주성 안의 관군에 비해 전력이 열세였다.
그러나 죽음을 각오한 의병들이 일시에 함성을 지르며 진격했다. 그 기세에 눌린 관군들은 성을 버리고 달아났다. 충주성 점령은 제천의병이 거둔 전과 중 가장 큰 것이었다.
의병들은 충주관찰사 김규식(金奎軾)을 처단했다. 그리고 서상렬, 원용정, 홍선표 등을 영남지방에, 이범직을 호서지방으로 각각 소모사(召募使)로 파견해 각지의 민병을 모았다. 이때 영남지방에는 안동의 김도화(金道和), 예안의 이중린(李重麟), 예천의 박주상(朴周庠), 순흥의 강익(姜釴), 풍기의 김교명(金敎明), 영천의 정규섭(丁奎燮), 봉화의 금석조(琴錫祚) 등 7개 고을 의진이 독자적으로 활동하고 있었다. 영남으로 내려간 서상렬은 이들 의진을 연합해 그 맹주가 돼 상주 태봉(台峰)에 있던 일본군 병참을 공격했다. 호서로 파견된 이범직은 삭발을 심하게 강요해 주민들로부터 원성을 크게 산 천안군수 김병숙(金炳肅)을 처단했다.
그러나 충주성을 장악한 의병들은 관군과 일본군에 의해 보급로를 차단 당해 더 이상 버틸 수가 없었다. 의병들은 어쩔수 없이 3월 4일 충주성을 포기하고 제천으로 돌아갔다. 안승우 선생은 제천으로 돌아오는 도중 중군장에 임명돼 의병들의 버팀목 역할을 했다.
선생은 전열을 가다듬고 군사들을 재정비하는 일에 힘썼다. 최후의 보루인 제천 방어에도 만전을 기했다. 각지의 의병들이 제천으로 모여들었다. 문경의 이강년(李康秊)이 군사를 거느리고 왔다. 영춘의 권호선, 원주의 한동직, 횡성의 이명로 등의 의병장들이 각기 의병을 거느리고 제천으로 합류해 왔다. 이후 제천 의병들은 5월 26일 제천을 상실할 때까지 3개월 동안 수안보, 가흥, 음성, 단양 등지에서 관군 및 일본군과 크고 작은 전투를 벌여 상당한 전과를 거뒀다.
제천의병들은 일본군 병참이 있던 가흥창(可興倉)을 공략하고자 수차에 걸쳐 공격했다. 그러나 전력을 집중하지 못한 채 산발적인 공세만 이어져 결국 가흥창 공략에 실패했다.
당시 선봉 종사인 민의식(閔義植)이 선봉장 김백선과 중군장인 안승우 사이를 이간질해 두 사람 사이에 갈등이 생겼다. 이러한 상황에서 독자적으로 가흥창 공략에 나섰던 김백선은 본진에 증원군을 요청했으나 중군장으로 있던 안승우가 미처 원군을 보내지 못했다. 김백선은 이에 격분해 술을 마시고 칼을 휘두르자 의병장 유인석이 그를 군율로 다스렸다. 이 사건으로 안승우 선생은 한때 곤경에 처했다.
당시 국왕은 의병 탄압을 위해 경군(京軍)이 지방으로 출동한 틈을 타 2월 11일 러시아 공사관으로 파천했다. 그 결과 김홍집 친일 내각이 무너지고 이범진, 윤치호 등을 중심으로 한 친러 내각이 들어섰다. 새 내각은 어수선해진 민심을 수습하고자 단발령을 철회하고 의병 해산을 목적으로 한 선유위원을 각 지방으로 파견했다.
이 상황에서도 안승우 선생은 제천 의병의 전력을 증강하고 군사를 모았으며 군사훈련을 했다. 전몰 의병들을 제사지내고 그 유가족을 구제하는 일에도 힘썼다.
◇ 전투 중 32세에 순국···아들 안기영 의병활동 이어가
그러나 아관파천 이후 제천의병은 활동에 제약을 받으면서 세력이 약해졌다. 특히 민심이 점차 의병을 외면했다. 민심은 단발령 철회 이후 오히려 의병을 부담스러워 하게 됐다.
이처럼 사기가 떨어져가는 상황에서 군대를 이끌고 내려온 선유사 장기렴(張基濂)이 수차에 걸쳐 의병 해산을 종용했다. 장기렴은 단발령이 철회되고 을미사변의 원흉격인 김홍집 이하 친일파들이 축출된 지금에는 의병 활동 명분이 없어졌으므로 해산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의병장 유인석은 “십적의 무리가 포열해 있는 것이 전과 같고, 왜적의 병참이 배치돼 있는 것이 전과 같고, 복색을 바꾼 것이 전과 같고, 관제의 변혁과 주군의 혁파가 전과 같다”고 하며 의병 해산을 완강히 거절했다. 일제와 결탁한 집권세력이 개화정책을 실행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결코 의병을 해산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결국 장기렴이 이끄는 관군은 제천성 공략에 나섰다. 안승우 선생은 고장림에 맞닿아 있는 남산에 진을 치고 본진을 지휘하며 관군을 상대로 격전을 벌였다. 선생은 최전방에서 직접 화약을 넣어 포군들에게 나눠주며 전투를 독려했다. 한때 세 차례나 경군을 고장림 밖으로 몰아내기도 했다. 그러나 오후 들어 비가 내리자 전황이 불리해졌다. 의병들은 비 때문에 화승총을 쓸 수 없게 됐다. 결국 의병은 패하고 제천성은 함락됐다.
안승우 선생은 전투 중 오른쪽 다리에 총을 맞았다. 경군의 대장소에 끌려간 선생은 조금도 굴하지 않고 강개한 어조로 우국충정의 소신을 당당히 밝히며 장기렴의 불의를 성토했다.
“나는 본래 나라의 원수를 갚고 인류의 명맥을 붙들려고 대의로 일어났다. 불행히 잡혔으니 당당히 죽을 것이거늘 어찌 역적의 무리에 붙겠는가. 의(義)로운 싸움은 비록 지더라도 이기는 것이요 죽더라도 영광스러운 것이며, 적(賊)의 싸움은 비록 이기더라도 또한 지는 것이요 살더라도 죽는 것이다.”
결국 선생은 경군들에 의해 죽임을 당해 32세에 순국했다. 뒷날 안승우 선생의 묘는 고향인 양평군 양동으로 이장됐다.
안승우가 의기와 애국심을 아버지 안종응으로부터 물려받았듯, 선생의 의병 정신은 아들 안기영(安基榮)에게 이어졌다. 1907년 안기영은 제천의진에서 부친과 함께 활동했던 이강년 의진의 종사(從事)가 돼 항일전에 참여했다. 안승우 선생의 가문은 3대에 걸쳐 항일 의병활동을 했다.
정부는 안승우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에 추서했다. 부친 안종응과 아들 안기영에게도 1999년 건국포장에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