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윤모 산업부 장관, 21일 완성차·부품업체 대표 간담회
업계, 신규 유동성 지원·추가적 내수 진작 정책 추진 등 요청

/그래픽=조현경 디자이너
/그래픽=조현경 디자이너

정부가 ‘코로나19 사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동차산업에 대해 적극적인 지원과 함께 추가적인 지원대책 마련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성윤모 산업통상부 장관은 21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자동차산업협회에서 국내 완성차‧부품업체 대표들과 간담회를 개최하고, 완성차, 1·2차 부품업체 등 업계 전반의 의견을 청취하며 대응방안을 모색했다.

성 장관은 “지난 2월 와이어링하네스 사태에서 보듯 자동차는 한 두 개의 부품기업에서 문제 발생 시에도 자동차 생산 전반이 타격을 받게 된다”며 “정부는 기 발표된 ‘민생‧금융안정 패키지(3월24일)’, ‘수출활력 제고방안(4월8일)’ 등에 포함된 P-CBO 추가 지원(8조400억원), 중소·중견기업 특별한도 대출(21조2000억원) 등을 자동차 부품기업들이 최대한 활용하여 위기를 버텨낼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완성차기업의 해외 공장이 중국, 체코, 러시아, 터키의 순서로 가동을 재개하고, 국내 공장과 부품공장도 최근 추가 확진자 없이 정상 가동 중인 점을 높이 평가한다”며 “최근 임금협상을 원활히 마무리한 한국GM과 르노삼성, 쌍용자동차의 사례와 같이 노사가 합심하여 위기 극복과 일자리 유지에 노력해달라”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자동차산업의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필요시 관계부처와 함께 지원대책 마련을 검토하겠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완성차·부품업계 대표들은 정부에 신규 유동성 지원과 추가적인 내수 진작 정책 추진 등을 요청했다. 아울러 이들은 현행 개인소득세에 더한 취득세 감면 시행, 자동차 개인소득세·부가세·관세 등 세금납부 기한을 6~9개월로 연장, 지난해 자동차 온실가스 기준(110g/km)을 올해 유예 적용 등을 검토줄 것을 건의했다.

한편 현재 유럽, 미국, 인도 등 세계 대부분 지역의 완성차 공장은 휴업 중이고, GM, 포드, 폭스바겐, 토요타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은 긴급 유동성 확보 등 비상경영 체제로 돌입하는 등 자동차 업계의 어려움은 가중되는 분위기다.

한국 완성차 판매의 63.1%를 차지하는 유럽‧북미 지역 판매딜러 휴업 확산으로 4월부터 자동차산업 전반의 생산·판매 감소 또한 예상되고 있다. 실제로 지난 1일부터 17일까지 완성차 수출과 생산은 각각 45.8%, 19.2% 등으로 감소했고, 완성차 업체는 수출비중이 높은 차종의 일부 생산라인 휴업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현대기아차 해외 9개국 18개 공장 가운데 4개국 6개 공장이 휴업 중이고, 미국, 인도 등 동반진출한 170여개 협력업체 사업장도 정상 가동에 애로를 겪는 상황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들은 해외공장 휴업이 장기화되면서 해외진출 부품업체들은 매출 감소로 인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