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비상경제회의···“공공부문 선결제 등 내수 진작 17.7조원 보완방안 마련”
“취약계층 개인채무 경감···벤처·스타트업 투자에 2.2조원 지원”
문재인 대통령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수출기업에 무역금융 36조원을 추가 공급하고 동시에 공공부문 선결제로 내수 진작에도 나서겠다고 8일 밝혔다. 취약계층을 위해 개인채무를 경감하고 재기를 지원하는 대책도 마련했다고 했다.
이날 문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주재한 4차 비상경제회의에서 “오늘 4차 비상경제회의는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차원에서 수출 활력 제고를 위한 방안, 내수를 보완하는 방안, 그리고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을 지원하는 방안을 결정한다”고 밝혔다.
이어 대통령은 “글로벌 공급망 붕괴와 거래 위축으로 타격이 극심한 수출기업들을 지원하는 대책을 마련했다. 우선 36조원 이상의 무역 금융을 추가 공급한다”며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신용도 하락이 수출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수출 보험과 보증을 만기 연장해 30조원을 지원하며, 수출 기업에 대한 긴급 유동성도 1조원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한 세계적인 경기 부양 시점에 적극적인 수주 활동에 나설 수 있도록 5조원 이상의 무역 금융을 선제적으로 공급하겠다. 자금 문제로 수출 기회를 놓치는 일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대통령은 “수출에서도 위기의 순간에 새로운 기회를 만들 수 있다”며 한국형 수출 모델을 적극 개발해 확산하겠다고 밝혔다. IT 인프라 강점을 활용해 상담, 계약, 결제 등 수출 전 과정을 온라인으로 구현하고, 대면접촉 없는 온라인 특별전시회와 상설전시관 등으로 새로운 마케팅 기회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문 대통령은 내수 진작 대책도 밝혔다. 대통령은 “급격히 얼어붙은 내수를 살리기 위해 추가적으로 17조7000억원 규모의 내수 보완방안을 마련했다”며 “민간의 착한 소비 운동에 호응해 공공부분이 앞장서 선결제, 선구매 등을 통해 3조3000억원 이상의 수요를 조기에 창출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민간에서 일어나고 있는 착한 소비 운동에 대해 전례 없는 세제 혜택을 통해 정부가 적극 뒷받침하겠다고도 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코로나19에 따른 경영악화로 결손기업이 증가하고 700만명 가까운 개인사업자의 피해가 가중되는 상황에서 12조원 규모로 세 부담을 추가 완화하는 특별한 조치도 결정한다”며 “또한 연체위기에 직면한 취약계층을 위해 개인채무를 경감하고 재기를 지원하는 대책도 마련했다. 어려움을 견디고 이겨내는 데 작은 힘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혁신 성장과 관련해 “어려운 상황에서도 지속적으로 우리 경제의 혁신 동력을 강화하기 위해 스타트업과 벤처기업들에 대한 맞춤형 대응방안도 마련했다”며 “저리로 자금을 추가 공급하고 특례 보증 신설과 함께 민간 벤처투자에 대한 과감한 인센티브 확대로 2조2000억원 규모의 자금을 추가로 공급하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세계 경제가 극심한 침체에 빠져들고 있다.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도 쓰나미와 같은 충격을 받고 있다”며 “정부는 힘들고 어려운 기업과 국민들을 위한 버팀목 역할을 충실히 하면서 위기 극복에 필요한 조치들을 언제든지 내놓겠다. 가용한 자원을 모두 동원하고 과감하고 적극적인 재정 투입도 주저하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