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부회장, 美 에너지부 마크 메네제스 차관과 수소사회 논의
메네제스 차관 “수소기술 발전과 미국 미빌리티 미래 위해 현대차와 협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 부회장이 수소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재차 강조했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정부와 손 잡고 수소사회 구현을 위해 속도를 낼 방침이다.
지난 10일(현지시각) 정의선 부회장은 미국 워싱턴 D.C 에너지부 청사에서 마크 메네제스 미 에너지부 차관과 만나 수소사회의 필요성과 비전, 방향성 등에 대해 논의했다.
정 부회장은 “수소와 수소연료전지 기술은 다양한 산업 군에서 활용이 가능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며 “미국 에너지부의 수소연료전지 프로그램에 협력하고 지원하게 돼 뜻깊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미 에너지부가 수소의 미래 잠재력에 높은 관심을 갖고 있어 이번 협력의 시너지가 상당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미국 에너지부와 함께 수소사회가 조기에 구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현대차그룹은 이날 수소 및 수소연료전지 기술혁신과 글로벌 저변확대를 위한 협력 등을 담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양해각서에 따르면 현대차는 미국 에너지부에 수소전기차 넥쏘 5대를 실증용으로 제공하고, 워싱턴 D.C에 수소 충전소 구축을 지원한다. 현대차와 미 에너지부는 넥쏘 투입과 수소충전소 개소를 통해 수소전기차와 수소충전소의 실증 분석 데이터를 확보하고 학계·정부기관 등과 공유할 계획이다.
또 최근 워싱턴 D.C 지역의 유일한 수소충전소가 운영을 중단함에 따라 현대차가 이 지역에 다시 수소충전소가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내용도 담겼다. 현대차가 수소충전소 개소를 지원하는 것은 미 연방정부 주요기관이 위치해 있는 워싱턴 D.C 지역의 상징성과 수소전기차의 보급 확대를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수소전기차 조기 상용화를 위해 지난 2004~2009년 미 에너지부가 주관하는 ‘수소전기차 시범운행 및 수소 충전소 인프라 구축’사업에 참여하며 협력 관계를 맺었다. 당시 1세대 투싼과 2세대 스포티지에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을 탑재한 수소전기차 33대를 투입했다.
지난 2012년~2017년에는 투싼ix 수소전기차 10대의 시범운행을 미 에너지부와 공동으로 진행하는 등 협력관계를 발전시켰다. 현대차그룹이 지난 10년간 미 에너지부와의 공동 시범운행에 투입한 43대의 수소전기차가 미국 전역을 운행하며 기록한 누적 주행거리는 200만km에 달한다.
한편 이날 메네제스 차관은 정 부회장과 함께 넥쏘를 직접 운전하며 성능을 체험했다. 메네제스 차관은 “수소연료전지와 수소기술의 발전은 물론 미국의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미래를 위해 현대차와 협력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