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숙환으로 별세, 비공개 4일 가족장···장지도 비공개

고 구자경 LG그룹 명예회장의 발인식. /사진=LG
고 구자경 LG그룹 명예회장의 발인식. / 사진=LG

고(故) 구자경 LG그룹 명예회장이 영면했다.

17일 LG그룹에 따르면 고인의 발인이 이날 오전 서울 모처의 한 대학병원에서 엄수됐다. 소박한 삶을 지향했던 고인의 뜻대로 조문 등을 사양한 채 가족장 형태의 4일장으로 치러진 만큼, 발인식 역시 간소하게 진행됐다.

발인식에는 상주인 차남 구본능 희성그룹 회장과 장손 구광모 LG그룹 회장을 비롯해 △장녀 구훤미씨 △3남 구본준 LG 고문 △차녀 구미정씨 △4남 구본식 LT그룹 회장 △구자열 LS 회장 △구자균 LS산전 회장 △구자은 LS엠트론 회장 등 직계 및 친인적 100여명이 자리했다.

사돈 관계이자, 오랜 동업관계를 이어 온 GS그룹 오너 일가도 이날 발인식에 모습을 보였다. 최근 그룹 회장직을 내려놓은 허창수 GS 명예회장(GS건설 회장)을 비롯해 △허동수 GS칼텍스 명예회장 △허광수 삼양인터내셔날 회장 △허정수 GS네오텍 회장 △허태수 GS그룹 회장 △허세홍 GS칼텍스 사장 △허윤홍 GS건설 사장 등이 고인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이 밖에도 권영수 LG 부회장,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 등 고인과 오랜 인연을 지닌 그룹 경영진들도 함께 했다. 추도사는 이문호 LG공익재단 이사장이 맡았다. 이 이사장은 “(고인은)대한민국 산업의 역사를 쓰신 분이자 LG의 역사였다”면서 “모두가 존경했던 회장님을 잊지 않겠다”고 소회했다.

간소하게 엄수된 발인식을 끝으로 고인을 태운 장례차는 화장장으로 떠났다. 조문 등을 사양하기 위해 빈소 등을 공개하지 않았던 유족은 구 명예회장의 장지도 공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앞서 유족은 나흘간 치러진 장례식 중 고인과 인연이 있는 일부 인사들의 내방만 허한 채 일반 조문객을 받지 않았다.

또 문재인 대통령 등 일부가 보낸 것을 제외하곤 대부분의 조화도 돌려보냈다. 구 명예회장에 앞서 지난해 5월 세상을 떠난 장남 고 구본무 LG 회장 때도 상당히 간소하게 치러졌다는 점이 새삼 조명되면서, 향후에도 LG가의 소박한 장례 가풍이 유지될 것이란 전망이 짙다.

한편, 고인은 화장 후 경기도 모처에 안치될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구본무 회장은 고인이 생전 애착을 갖고 조성했던 경기도 광주 곤지암 화담숲 인근에 수목장 형태로 영면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