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고용·산업생산·신규수출 등 부문에서 긍정적
한국, 미·중 무역분쟁 완화와 기술 성장 수혜 전망
미국 대선 전까지는 미·중 무역분쟁 완화
슈로더투자신탁운용이 내년 글로벌 경제에 대해 점차 회복세가 시작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 경제의 경우 2.4% 수준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관측했다. 내년에 주목해서 봐야 할 이슈로 미·중 무역분쟁과 기술성장을 꼽았다.
키이쓰 웨이드 슈로더그룹 수석이코노미스트는 26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2020년 글로벌 경제 및 시장’ 설명회에서 “전체적인 글로벌 경제는 올해 성장 둔화를 겪었지만 2020년에는 점차 회복세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의 경기에 대해 긍정적인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그는 “이번 미국 경기 확장기는 2009년 6월 이후 125개월 연속 지속되고 있다. 이는 미국 역사상 최장기 기록을 이미 갱신한 것이다”며 “역사적으로 평균 경기 사이클이 약 5년이라는 점에서 투자자들은 경기 확장 국면이 곧 끝날 것을 우려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는 “현재 사이클은 기존 경기 사이클과는 달리 경기 확장 강도가 가장 약한 것으로 분석된다. 마치 이번 사이클은 토끼라기보다 거북이와 같다”며 “부정적인 지표들도 있지만 고용, 산업생산, 신규수출 등에서 긍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고무적이다”라고 밝혔다.
그는 내년 한국 경제도 긍정적으로 바라봤다. 그는 내년 한국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4% 수준으로 제시했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 전망치인 2.2%보다도 0.2%포인트 높은 것이다. 그는 “올해 한국 경제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 긴장으로부터 상당 부분 영향을 받았다. 하지만 내년에는 미·중 무역분쟁 이슈 완화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며 “여기에 기술 성장 수혜, 재정부양책 등에 따라 긍정적인 모습을 보일 것으로 본다”라고 전망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과 관련해선 일시적인 휴전이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미국과 중국이 무역 분쟁이 양국의 경제적인 부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내년 가을 대선을 앞두고 있는 트럼프의 상황을 고려하면 조만간 미·중 무역분쟁이 휴전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다만 그는 장기적으로는 미·중 무역분쟁이 재점화될 것으로 봤다. 그는 “미국 공화당이나 민주당이 함께 공유하고 있는 것은 중국의 경제적 비상이다”며 “이에 미국 대선 이후 양국 간 무역 긴장은 다시 재점화될 수 있다. 이는 단순한 무역분쟁이 아닌 경제적 패권을 두고 벌이는 싸움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구조적인 변화를 이끌고 있는 기술의 성장도 눈여겨 봐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산업 파괴적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기술 관련 지출도 경기 둔화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기술 부문의 성장은 일자리와 같이 다양한 부문에서 구조적 변화를 이끌고 있어 경제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봐야 한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