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9월 수출입동향 수치’ 발표···수입액 387.4억 달러·수지 59.7억 달러
반도체·석유화학 등 단기하락···주력품목·이차전지 등 新수출성장품목 선전

/그래픽=이다인 디자이너
/그래픽=이다인 디자이너

세계 주요국들의 수출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의 수출도 감소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9월 수출입동향 수치’에 따르면 올해 9월 수출액은 447억10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1.7% 감소했고, 수입액도 387억40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5.6% 하락했다고 밝혔다. 수지는 59억7000만 달러로 92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했다.

산업부는 반도체・석유화학 등 단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전체 물량은 견조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9월 물량(3.1% 증가)은 지난 1월에 이어 2번째 규모로 크게 증가했고, 올해 누적 물량도 증가세(0.9%)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9월 일평균 수출은 21억8000만 달러로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3개월 만에 20억 달러를 회복했고, 지난 7월부터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무역 수지 또한 올해 최고 기록을 달성했고, 수출 호조시기인 지난 2018년 평균 무역수지(58억달러) 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자동차(4.0%)・차부품(2.1%)・무선통신(1.1%)・선박(30.9%)・가전(0.4%) 등 주력품목과 이차전지(7.2%)・바이오헬스(25.2%) 등 신(新)수출성장품목이 선전한 결과다.

미중 무역 분쟁이 심화되면서 대(對) 중국(-21.8%)・미국(-2.2%) 수출은 감소했지만, 시장 다변화 노력으로 신북방(CIS 41.3%) 수출은 증가했다. 또한 EU(10.6%)・중남미(10.8%) 등에 대한 수출도 증가로 전환됐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