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 블록체인 플랫폼 ‘모나체인’ 활용

LG유플러스는 오는 17일부터 ‘휴대전화 분실‧파손 보험’ 서비스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하여 절차를 간소화하고 고객 관점의 사용자 환경(UI)을 적용한 휴대전화 보험금 간편 청구 앱을 선보인다고 15일 밝혔다. /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오는 17일부터 ‘휴대전화 분실‧파손 보험’ 서비스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하여 절차를 간소화하고 고객 관점의 사용자 환경(UI)을 적용한 휴대전화 보험금 간편 청구 앱을 선보인다고 15일 밝혔다. /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가 ‘휴대전화 분실‧파손 보험’ 서비스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해 휴대전화 보험금 간편 청구 애플리케이션(앱)을 오는 17일 선보인다. 

이 앱을 활용하면 보상 관련 서류를 제출하지 않아도 되고 사고 당일 보상이 가능하다. 앱에서 보상받을 휴대전화를 선택하고 가까운 매장을 조회한 뒤 방문해 사고 당일 휴대전화를 수령할 수 있다.

기존에는 휴대전화 분실‧파손 시 제조사 서비스 센터에서 수리 내역과 영수증 등 보상 서류를 준비해 보험사에 팩스로 보내거나 사진으로 찍은 후 앱 또는 홈페이지에 첨부해야 했다.

이에 반해 새로 선보인 앱은 블록체인 분산원장 기술을 적용해 휴대전화 보험금을 지급받는 과정이 실시간으로 LG전자, KB손해보험 등과 공유된다. 이 시스템은 LG CNS의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 ‘모나체인’을 기반으로 개발‧구축됐다.

보험 청구를 위한 여러 수작업 단계와 서류 심사 시간이 줄어들어 보험금 수령 기간도 빨라진다. 서술형으로 작성하던 13가지 사고 접수 문항은 선택형으로 8가지만 간략히 작성하면 된다. 접수 후 진행 상황은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다. 보험금을 더 받기 위한 수리 영수증 조작 등 서류 위변조 행위도 원천 차단된다.

또 LG유플러스에 등록된 카드번호 또는 은행계좌로 앱 로그인이 가능해 휴대전화를 분실한 상태에서도 다른 휴대전화를 통해 휴대전화 보험금 간편 청구를 할 수 있다. 통신료를 은행이체로 납부하는 고객은 등록된 은행계좌로 보험금이 자동 지급된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