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퀄컴 5G 모뎀 탑재 아이폰 출시···2022년 자체 개발 5G 모뎀 탑재 예상"
삼성·LG 등 올 하반기 이어 상반기까지 5G 스마트폰으로 수성···점유율 경쟁 지속

아이폰 XS /사진=애플 홈페이지 캡처
아이폰 XS /사진=애플 홈페이지 캡처

 

애플이 삼성·LG전자보다 1년 이상 늦게 5G 지원 스마트폰을 출시한다. 애플이 당초 업계 예상보다 일정을 앞당겨 내년 하반기에 5G 지원 아이폰을 내놓을 가능성도 있지만 경쟁사보다 한참 늦은 첫 발은 여전히 부담이다. 지난 LTE 전환기 당시에도 애플은 1년여 이상 늦은 대응으로 시장 점유율을 내준 바 있다. 올 하반기부터 내년 상반기까지 삼성, LG전자를 비롯한 경쟁사들의 5G 스마트폰 출시가 예정된 까닭에 시장 점유율 변동이 예고된다. 

21일 업계 및 외신에 따르면 내년 9월 출시될 애플 아이폰 3종 중 2종은 5G 이동통신을 지원할 전망이다. 최근 미국 CNBC 및 다수 외신은 애플 사업에 정통한 애널리스트 밍치궈의 보고서를 인용해 애플이 내년에 퀄컴 모뎀 칩을 사용한 5G 아이폰 첫 모델을 출시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밍치궈는 보고서를 통해 애플은 내년 아이폰 3개 모델을 출시하는데 이중 6.1인치 1개 모델을 제외한 2개 모델에 5G 모뎀이 탑재될 것으로 분석했다. 또 2021년부터 애플은 모든 아이폰에 5G를 지원하며 2022년 이후엔 애플이 자체 개발한 5G 모뎀 칩을 내놓을 것으로 내다봤다.

최근 애플의 행보는 이 같은 전망에 힘을 더하고 있다. 올초 애플은 퀄컴과의 소송을 철회하는 데 합의하고 향후 수년간 퀄컴 칩셋을 공급받기로 계약했다. 애플은 그간 인텔의 모뎀칩에 의존해왔으나 인텔이 5G 모뎀칩 사업을 포기하겠다고 밝힌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엔 애플이 인텔의 모뎀칩 사업 일부를 인수하기 위해 협의 중이라고 알려지면서 자체 모뎀 칩 설계에 공 들이고 있다는 외신 보도도 흘러나왔다.

다만 지난 2011년 LTE 전환기 시점과 마찬가지로 새로운 이동통신 지원 스마트폰 출시는 1년 이상 늦었다는 평가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1년 9월 첫 LTE 지원 스마트폰 갤럭시S2를 출시한 반면 애플은 1년여 뒤 2012년 9월 출시한 아이폰5부터 LTE를 지원했다.

1년여 간 시간차를 두고 양사의 시장 입지는 뒤바뀌었다.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09년 스마트폰 판매량 기준 시장 점유율은 애플이 14.4%로 삼성전자(3.7%)를 월등히 앞섰다. 그러나 갤럭시S2가 출시되고 본격 판매된 2011년 양사의 시장 점유율은 19%대로 동등한 수준으로 변했다.

그러다가 갤럭시S3가 출시된 2012년 삼성전자의 시장 점유율은 30.4%로 애플을 추월했다. 이어 2013년 삼성전자는 32.3%, 애플이 15.5%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며 시장 입지가 엇갈렸다. 지난해 시장 점유율은 삼성전자가 20.1%, 애플은 14.5%를 기록했다. 갤럭시 시리즈의 흥행은 크게 개선된 사양과 디자인에 기인했지만 LTE 이동통신 지원 기능도 스마트폰 교체 수요를 흡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5G 전환기에도 애플이 한 발 늦었다는 평가다. 여기에 올 하반기에 이어 상반기까지 삼성전자와 LG전자 및 중국 경쟁사들이 5G 스마트폰 출시를 앞두고 있어 시장 점유율이 빠질 가능성도 점쳐진다. 당장 올 하반기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10을 5G 지원 모델로만 내놓고 중국 경쟁사 역시 발 빠르게 유럽 시장을 중심으로 5G 스마트폰을 출시할 전망이다. LG전자 역시 내년 상반기 G, V 시리즈를 중심으로 5G 후속 모델을 낼 전망이다.

내년 하반기 이후엔 5G 모뎀 보급에 따라 중저가 제품군을 중심으로 경쟁이 보다 가열될 것으로 관측된다. 업계 관계자는 "갤럭시노트10을 기점으로 내년 초 출시될 플래그십 모델도 5G 지원 모델로만 출시될 것으로 본다"면서도 "중국 제조사들이 5G 지원 단말을 출시하면서 내년 하반기엔 중저가 제품을 중심으로 보급 규모가 더 커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