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4일 본 교섭 진행되지 않거나, 노조가 요구하는 합의안 안 나오면 전면파업 돌입”···사측 “교섭 지켜봐야”
르노삼성 일감절벽 현실화···노사 갈등 길어질 경우 FCA와 르노그룹 합병도 악재
르노삼성자동차 노사 간 갈등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사측이 이달 부산공장 가동을 중단(셧다운) 하겠다는 방침을 밝히자, 노조 측은 ‘전면파업’을 예고하고 나섰다. 노사 간 갈등이 길어질 경우 피아트크라이슬러(FCA)와 르노그룹의 합병이 부산공장에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3일 르노삼성 노조는 “교섭대표 간에 미팅이 3일 진행된다. 오는 4일 본 교섭이 이뤄지지 않거나, (본 교섭에서) 노조에서 요구하는 합의안이 나오지 않는다면 전면 파업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앞서 사측이 노조 측에 통보한 ‘부산공장 가동중단’에 대한 답변으로 풀이된다. 앞서 사측은 ‘일감절벽’을 이유로 이달 부산공장 가동을 중단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4월과 5월에 이어 세 번째 셧다운 결정이다.
이에 대해 노조 측은 부정적인 입장을 보여왔다. 노조 관계자는 “6월도 비가동 예정이라고 들었다. 프리미엄 휴가를 일방적으로 사용한다고 통보하고 있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프리미엄 휴가는 사내 복지 제도중 하나로, 명절 또는 연휴에 붙여 하루나 이틀 정도 전 직원이 연차를 내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생산 물량이 줄면서 사측은 셧다운을 위해 이 제도를 활용하고 있다.
문제는 전면파업 등으로 인해 노사 간 갈등이 길어질 경우, 추가 생산 물량 확보가 힘들어진다는 점이다.
르노삼성은 지난 1분기 3만8752대의 차량을 생산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40%가량 축소된 규모다. 또 생산되는 차량의 대부분을 차지한 닛산 로그의 위탁 계약은 오는 9월 끝난다.
다만, 기회가 없는 것은 아니다. 로이터통신 등 주요 외신들은 연일 FCA와 르노그룹의 합병 가능성을 보도하고 있다. 전문가들도 전기차 기술을 필요로 하는 FCA와 미국 시장 수요를 원하는 르노그룹이 시너지를 발휘하기 위해 합병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두 기업은 미국 진출(르노그룹), 전기차 개발(FCA) 등 각각 원하는 것이 있어 합병될 가능성이 높다. 만일 성사가 된다면 이는 르노삼성에 기회이기도 하고 악재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우선 두 회사가 합병할 경우 생산 공장을 재조정할 수 있다. 즉, 부산공장이 FCA 관련 차량들을 위탁 생산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는 것이다. 그러나 반대로 보면, 악화된 노사 관계를 이유로 적절한 물량을 배정하지 않을 수도 있는 셈이다.
실제로 르노그룹 본사는 르노삼성의 노사 관계를 이유로, 신차 XM3의 유럽 수출 물량을 부산공장이 아닌 스페인 바야돌리드 공장으로 배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사측은 노조 측의 전면파업 예고 등에 대해 일단 추이를 지켜본다는 입장이다. 르노삼성 관계자는 “(노조가) 확실하게 전면파업을 실행한다는 것은 아니다. (교섭 등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을 아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