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국 아파트 거래비율의 12%에 불과
주거비 부담 적고 공간 활용도 높은 중소형 평형이 당분간 대세 이끌 듯

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 전경 / 사진=연합뉴스
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 전경 / 사진=연합뉴스

 

 

주택시장에서 중소형 평형이 덩치 큰 대형 평형을 밀어내고 있다. 공간 활용도가 우수하고 주거비 부담이 상대적으로 낮아 1∼2인 젊은 가구 중심의 실수요는 물론 투자 수요에게까지 인기를 끄는 것으로 풀이된다.

17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감정원의 거래 규모별 아파트 거래량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 거래량은 총 115만6956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국 아파트 거래량(132만1341건)의 87.6% 수준이다.

이는 한국감정원이 관련 통계발표를 시작한 2006년 이후 2017년(87.9%)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거래량에는 매매, 판결, 교환, 증여, 분양권 전매, 기타 소유권 이전 등 아파트거래와 관련한 항목들이 모두 포함됐다.

전용면적 85㎡ 초과 중대형아파트 거래량은 지난해 전국 아파트 거래량의 12.4%(16만4385건)로, 2010년 거래량 비율이 20.0%를 기록한 이후 하락세다.

이런 추세 속에서 내달 수도권에서 분양 예정인 전용면적 85㎡ 이하 아파트가 관심을 받고 있다.

경기도시공사와 대우건설은 내달 경기도 남양주 다산신도시 지금지구 A4 블록에 지하 2층과 지상 29층 10개동 총 1614가구로 짓는 전용면적 51∼59㎡ 공공분양 아파트 다산신도시 자연앤푸르지오를 분양할 예정이다.

대림산업 역시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1구역 e편한세상 금빛 그랑메종 총 5320가구 가운데 전용면적 51∼84㎡, 2329가구를 일반 분양한다. GS건설과 금호건설은 경기도 과천시 갈현동 과천지식정보타운 S9 블록에 전용면적 60㎡ 이하로 짓는 과천제이드자이를 분양할 예정이다.

신영은 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동 루원시티 주상복합 3블록에서 전용면적 84㎡인 루원 지웰시티 푸르지오를 공급할 예정이고, 롯데건설과 포스코건설 컨소시엄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안4구역 재개발을 통해 전용면적 38∼84㎡인 주안 캐슬&더샵 총 1856가구 가운데 835가구를 일반에 분양할 예정이다.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는 공간 활용성이 중대형 아파트보다 뛰어나고, 주거비 부담은 낮아 1∼2인 젊은 가구 중심의 실수요와 투자 수요가 모두 주목하고 있다”며 “당분간 이같은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