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사회 실현 위한 3대 아젠다 제시하며 민관 병행 활동 강조
수소위원회-국제에너지기구-다보스포럼 3자 공동협의, 수소경제 활성화 모색

현대자동차그룹 시무식에서 정의선 수석부회장이 신년사를 발표하고 있다. / 사진=현대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 시무식에서 정의선 수석부회장이 신년사를 발표하고 있다. / 사진=현대차그룹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이 글로벌 CEO 협업체 ‘수소위원회’ 공동회장으로 취임했다. 수소위원회 공동회장으로 최근 새로 선임된 정의선 수석부회장은 23일(현지시간) 브느와 뽀띠에 회장(에어리퀴드 CEO)과의 공동 명의로 다보스포럼에 발송한 기고문에서, 민간에 이어 각국 정부까지 포괄한 글로벌 차원의 민관 협력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했다.

수소위원회는 지난 2017년 다보스포럼 기간 중에 출범했다. 전세계적 차원의 에너지 전환에 있어 수소 기술의 역할을 강조하기 위해 구성된 최초의 글로벌 CEO 협의체다. 수소위원회에는 현대차를 비롯해 도요타, BMW, 에어리퀴드 등 글로벌 기업들이 회원사로 참여하고 있다.

정 수석부회장은 기고문에서 글로벌 컨설팅 업체 맥킨지의 ‘수소경제 사회 구현을 위한 로드맵’을 인용, 오는 2050년 ▲수소와 관련된 산업 분야에서 연간 2조5000억 달러 규모의 시장 가치가 창출되고 3000만개 이상의 일자리가 생기며 ▲수소에너지가 전체 에너지 수요량의 18%를 담당하면서 이산화탄소가 매년 60억톤 가량 감축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본격적인 수소경제 사회의 구현 및 에너지 패러다임의 대전환을 위해 3가지 아젠다를 제시했다. 정 수석부회장은 ▲수소경제 사회 실현을 위해 민관영역의 병행 활동 필요성을 강조했고 ▲전세계에서 진행 중인 대규모 민관 협력 수소 프로젝트의 공유를 통한 미래 수소 산업 예측 ▲2030년까지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 수소경제 영역에 2800억 달러 규모의 글로벌 투자를 위한 수소경제 확장 등을 역설했다.

한편, 수소위원회는 24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 현지에서 공식 파트너십 대상인 국제에너지기구(IEA), 다보스포럼과 함께 수소경제 사회를 위한 공동 협의를 진행한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