윗선개입 및 또 다른 채용비리 정황 발견될지 여부 따라 수사 확대 가능성 거론···황창규 행보에도 영향 미칠듯
검찰이 김성태 전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딸 KT 특혜채용 의혹에 대해 본격 수사에 나섰다. 검찰 정기인사 전까지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이는데, 이와 관련해 두 가지 주요 변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남부지검 형사6부(부장검사 김영일)는 지난 14일 성남시 분당구 KT 본사와 KT 광화문지사 등을 압수수색하고 회사채용 관련 문건과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했다. 검찰은 김 전 원내대표의 딸이 2011년 4월 KT경영지원실 KT스포츠단에 계약직으로 채용되고, 이후 정규직으로 신분이 바뀌었던 과정에서 특혜 의혹이 있었는지 여부에 대해 들여다보고 있다. 김 전 원내대표의 딸은 지난해 2월 퇴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검찰 수사의 첫 번째 주요 변수는 실제 채용 과정에 특혜의혹이 있었다면 해당 건이 어느 선에서 이뤄졌는지 여부다. 특혜채용의 경우 윗선의 승인 없이 인사팀이 독단적으로 진행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얼마나 윗선까지 밝혀낼지 여부가 사실상 수사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과거 채용비리 소동을 겪었던 한 기업 인사는 “채용비리는 아예 처음부터 윗선에서 내려오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만약 윗선의 지시가 아니었다고 하더라도 보고가 이뤄졌는지 여부도 또 다른 논란거리가 될 수 있다.
이번 수사의 또 다른 변수는 김 전 원내대표 외 인물들로 채용비리 수사가 번져갈지 여부다. 검찰이 이번에 확보한 자료 분석 과정에서 또 다른 채용비리 의혹이 밝혀질 경우 해당 수사는 대대적으로 KT 채용비리 게이트로도 번져갈 수 있다. KT는 특히 민간기업 임에도 여전히 정치권의 간섭이 많아 잊을만하면 정치권발 리스크가 불거진다.
이 중 어떤 상황이 펼쳐지든 KT에겐 불편한 상황이다. 결국 또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는 황창규 KT회장의 행보에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최근 황창규 회장은 지난달 아현동 통신구 화재 사태로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이하 과방위) 출석 요구도 받은 상황이다.
한편 이번 수사는 2월 검찰 정기인사를 코앞에 두고 진행되게 됐다. 해당 수사가 속도감 있게 진행될지, 인사 이후로 넘어가게 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