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사스지방법원 배심원단, KAIST IP 보유 특허 침해혐의 인정

삼성전자가 엑시노스에 적용된 '핀펫'기술로 특허권 침해 혐의를 받고 있다. 핀펫은 최신 '엑시노스7'(이미지)에도 적용됐다. / 이미지 =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반도체 제조 핵심 기술 핀펫(FinFET) 특허 침해 혐의로 4400억원을 배상할 위기에 놓였다.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텍사스지방법원 배심원단은 지난 16(현지 시각) 핀펫 특허권 침해 소송에서 삼성전자 특허 침해를 인정, 4억달러(4400만원)을 배상하라고 평결했다. 배심원단 평결 후 재판부가 삼성전자 특허 침해 고의성을 인정하면 배상금은 3배까지 인상될 수 있다.

 

삼성전자를 상대로 특허권 침해소송을 제기한 곳은 KAIST IP. KAIST IP는 이종호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가 지난 2001년 원광대 재직 시절 개발한 핀펫 기술 지적재산권을 위임받아 관리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특허 침해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배심원단에 대학과 협력해 자체 기술로 개발했다고 주장했다.

 

핀펫은 반도체 기술로 게이트의 모양이 물고기 지느러미(fin)처럼 생겼다고 해 이름 붙었다. 게이트를 세워 전류 낭비를 막는 기술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514나노 공정에서 양산한 엑시노스에 핀펫을 적용했다.

 

핀펫 기술은 삼성전자 뿐만 아니라 모바일용 프로세서를 양산하는 대부분의 주요 회사들이 적용하고 있다. 퀄컴, 글로벌파운드리, TSMC도 이 기술을 적용한다. 이중 퀄컴은 삼성전자와 공조해 방어에 나섰다고 외신은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