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시간 고온 사용 피해야, 일정거리 필수…화상 부위 온도, 찬물 등으로 낮춰야
최근 한파가 몰아닥치며 전기장판과 핫팩 등 온열제품을 가까이 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장시간 고온 제품 사용을 피하고 일정 거리를 유지할 것을 당부한다. 저온화상을 입으면 흐르는 물 등으로 화상 부위 온도를 낮추는 방법을 권유한다.
화상은 글자 그대로 불이나 뜨거운 물,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및 조직 손상을 지칭한다. 이중 저온화상은 체온보다 높은 45도 이상 온도에 1시간 이상 노출 시 피부 속 단백질변성으로 피부조직이 손상돼 수포나 염증이 일어나는 질환을 지칭한다. 우리 몸이 따뜻하다고 느끼는 45~50도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지속적으로 온열제품에 노출되면 화상을 입을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겨울에는 전기장판이나 찜질팩, 핫팩, 온풍기 등 온열제품 사용이 많아져 저온화상을 입는 사람들이 많아진다.
저온화상은 1도에서 4도로 발현 증상에 따라 구분된다. 고온화상처럼 즉각적으로 통증과 물집이 나타나지 않고, 노출 부위가 붉게 달아올라 가렵고 따가운 증상이 나타난다.
저온화상 환자가 발생했을 경우 우선 열기를 제거하고 온도를 낮추기 위해 흐르는 물에 화상 부위를 10분 정도 닿게 해주는 것이 좋다. 이 경우 급한 마음에 얼음을 이용하는 것은 통증을 오히려 악화시키고 저체온증을 유발할 수 있어 좋지 않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심한 경우 물집이 생기는데 함부로 터뜨리지 말고, 즉시 병원을 방문해 올바른 치료를 받는 것이 필수적이다.
저온화상으로 인해 열성홍반이 발생할 수도 있다. 열성홍반은 강한 열에 지속적으로 노출돼 피부에 홍반과 과색소침착을 일으키는 질환을 지칭한다. 일반인들은 대부분 통증이 없어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초기에는 붉은 반점모양으로 나타나 점차 넓게 갈색 그물모양으로 변해 하지정맥류로 오해하는 사람도 있다. 온열제품 사용을 중단하면 서서히 증상이 호전되기도 한다. 하지만 심할 때 색소침착은 영구적으로 남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수술로 회복해야 하는 상황도 있으니 치료를 해두는 것이 좋다.
저온화상을 예방하기 위해 전기장판은 피부에 직접 닿지 않도록 이불 위에 깔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핫팩 역시 피부에 닿지 않게 사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손수건으로 감싸거나 옷 위에 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뇨병이나 말초혈관 질환을 갖고 있는 환자들은 저온화상을 입을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아 주의가 요망된다.
전지현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피부과 교수는 “게임과 영상시청 등으로 뜨거워진 휴대폰에 장시간 노출돼도 저온화상을 입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전 교수는 이어 “온열제품이 피부에 닿지 않게 사용해야 하고, 온도를 체온 이하로 유지해 1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