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 회전율 30년 9개월 만에 최저…경제 주체들 마땅한 투자처 찾지 못한 탓, 추석 등 장기 연휴도 영향

예금 회전율이 30년 9개월 만에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 사진=뉴스1
예금 회전율이 30년 9개월 만에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저금리 기조가 장기화되면서 경제 주체들이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데다, 추석 연휴로 영업일수가 줄어든 영향까지 맞물렸다.

1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0월 예금은행 요구불예금 회전율은 16.5회로 집계됐다. 이는 1987년 1월(16.3회)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요구불예금 회전율은 예금 지급액을 예금 잔액으로 나눈 값이다. 회전율이 낮을수록 경제 주체들이 돈을 인출해 쓰기보다 예금을 은행에 예치한 채로 두는 경우가 많다는 의미다.

요구불예금 회전율은 2000년대 후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낮아지는 추세다. 2010년 12월 39.5회를 정점을 찍은 뒤 꾸준히 하향 곡선을 그렸다. 특히 지난 2014년 12월(31.3회)을 마지막으로 30회 이상으로 올라가지 못했으며, 지난해 9월(19.6회)에는 20회 미만으로 뚝 떨어졌다. 올해 3월 20.8회를 기록하며 반등하는 듯 했으나 이후 8월 19.0회, 9월 19.1회 등 상승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10월 요구불예금 회전율이 급락한 이유로는 추석 등 열흘간의 장기 연휴로 인한 영업일 수 부족이 꼽힌다. 그러나 근본적으로는 경제 주체들이 투자나 소비를 꺼리고 있기 때문이란 분석에 힘이 실린다. 가계나 기업이 투자할 만한 곳을 찾지 못해 쉽게 돈을 인출하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일각에서는 저금리에도 불구, 요구불예금 회전율이 낮은 것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론상으로는 금리를 낮추면 예금 대신 소비와 투자가 늘어 경기 활성화가 이뤄져야 한다. 요구불예금 회전율이 낮다는 것은 통화정책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