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평균 1.5%포인트 상승…"채무상환능력, 가계대출의 질적 구조 양호"
한국은행이 대출금리가 1%포인트 상승해도 가계에 부담이 크지 않다고 분석했다. 이는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란 의미로도 해석되면서 내년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졌다는 풀이도 나온다.
14일 한국은행이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가계대출 금리가 100bp(1bp=0.01%포인트) 상승하면 올해 3분기말 기준 전체 차주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상승폭은 평균 1.5%포인트로 추산된다.
대출금리가 1%포인트 상승하면 연 처분가능소득 3000만원인 차주가 1년간 원리금으로 45만원을 더 부담하는 셈이다.
한국은행은 대출금리가 1% 오르더라도 차주의 추가 이자부담은 대체로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다. DSR 상승폭이 1%포인트 미만인 차주 비중이 절반 이상(60.9%)으로 추정되는 까닭이다.
반면 DSR 상승폭이 1∼5%포인트인 차주 비중은 33.4%다. 5%포인트 이상은 5.7%다. 이를 더 세부적으로 나누면 1∼2%포인트는 17.9%, 2∼3%포인트는 8.5%, 10%포인트 이상은 1.6% 비중으로 분석됐다.
다만 취약 차주와 고령층, 자영업자의 이자 부담은 늘어날 전망이다. 소득 하위 30%인 저소득층과 50세 이상, 자영업자는 DSR 5%포인트 이상에서 비중이 높아졌다.
특히 저축은행 금리 20% 이상 신용대출 등 고위험 대출과 저소득·저신용 다중채무자 등 취약자주 DSR 상승폭도 높았다.
한국은행은 “대출 금리 1%포인트 상승에 따른 채무상환부담 증가 정도는 소득과 금융자산 등을 감안할 때 대체로 감내 가능한 수준이며, 경기 회복에 따라 어느정도 상쇄될 가능성도 있다”면서도 “비은행 고위험 대출을 보유하거나 취약차주인 경우 소득여건 개선과 상환능력 제고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지속돼야 한다”고 밝혔다.
일각에선 이를 두고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30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린 바 있다. 대출 금리 1% 상승까지 감내 가능하다면 한국은행으로선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여유가 있는 셈이다.
다만 한국은행은 하나의 요소만 고려치 않고 국내외 다양한 경기 상황을 중기적 관점에서 판단해 통화정책을 운용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소득대비가계대출비율(LTI)은 2012년말 167.9%에서 올해 3분기말 210.7%로 가파르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년 동안 소득을 고스란히 모아도 빚을 갚지 못하는 수준이라는 의미다.
소득 대비 부채 부담이 높은 차주 비중도 늘었다. LTI가 500%를 상회해 레버 리지가 높은 차주의 비중은 2012년말 6.6%에서 올해 3분기말 10.2%으로 상승했다. 반면 소득 대비 부채 부담이 적은 LTI 100% 미만 차주 비중은 같은 기간 59.6%에서 51.7%로 줄어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