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위축 확산 가능성…내년 신DTI 시행 겹쳐 시장위축 불가피 전망
기준금리가 연 1.25%에서 연 1.5%로 6년 5개월 만에 인상되면서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잇단 부동산 규제 대책에도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는 서울 집값도 꺾이는 것이 아니냐는 전망이 커지고 있다. 금융비용 상승에 따른 수요위축 가능성 때문이다. 여기에 내년 신(新)총부채상환비율(DTI) 도입까지 겹치면 시장이 오랜 기간 냉각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30일 부동산업계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불러올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서울 송파구 A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대다수 수요자들이 대출을 끼고 주택구입에 나서고 있다. 금융비용 상승으로 주택담보대출(주담대) 등 이자비용 증가가 주택수요 위축을 부를 수 밖에 없다”는 우려를 전했다.
거래량이 감소세인 서울 부동산 시장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29일 기준 11월 서울 아파트 일평균 거래량은 212.4건이다. 월별 일평균 거래량은 ▲8월 474.8건 ▲9월 276.2건 ▲10월 123.1건 등 하락세다. 금리인상으로 인한 금융비용 증가가 서울 아파트 거래위축에 불을 지필 수 있단 지적이 나온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서울은 아파트 거래량 감소세가 뚜렷하다. 매도 호가는 높아지고 있지만 시장이 위축될 수 있다는 신호다”며 “금융비용 상승으로 거래량이 더 줄어들면 아파트 매매가 결국 하락할 수 밖에 없다. 이는 거래량 감소와 추가 매매가격 하락이란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지방 부동산 시장에 타격이 클 것이라는 전망이다. 미분양 주택이 더욱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방 미분양 주택은 올 7월에 4만2165가구를 기록한 이래 매월 증가해 충남, 부산 등을 중심으로 10월에는 4만5831가구까지 늘었다. 그 여파로 최근 334가구 분양을 진행한 충남 천안시의 한 아파트는 전 평형이 미달됐다.
대출규제로 부동산 시장 침체가 더 심화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내년부터 신DTI로 차주가 두건 이상 주담대를 받을시 모든 원리금이 대출시 산정된다. 이번 금리인상과 더불어 부동산 시장이 냉각국면에 들어갈 수 있단 진단이 제기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다는 분석도 있다. 금리 인상분이 대출금리에 선반영된 만큼 주담대 차주들의 비용부담이 당장 커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노희순 주택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은행의 주담대 금리는 채권금리 영향을 받는다. 채권금리가 금리인상분을 일정부분 선반영해 실제 주담대 금리 상승폭은 크지 않을 수 있다. 더군다나 경기회복 국면에서 금리 인상폭이 크지 않아 실제 차주가 느낄 부담이 크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노 연구원은 "결국 금리 인상폭과 속도가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준다. 금리인상 속도가 주택 가격상승분을 체감하지 못할 정도로 빨라지면 거래량 감소가 일어날 수 있다. 더욱이 금리인상폭이 지금보다 커지면 차주의 부담도 커진다. 미국 금리인상과 함께 국내 기준금리 추이가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