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가여유국, 롯데호텔·면세점 제외한 금한령 해제…내년 2월까지 지속 전망도

/ 그래픽=조현경 디자이너

중국 정부의 ‘사드 보복’이 일부 해제됐다. 중국 내 한류 콘텐츠의 유통을 제한하고 한국 단체 관광을 금지했던 중국 정부가 28일 해제 조치에 착수한 것이다. 

 

하지만 중국 당국은 롯데그룹과 관련한 단체관광 상품의 판매금지는 유지했다. 지난달 말, 한·중 양국의 관계정상화 선언 이후 중국 내 사업에 숨통이 트이길 기대했던 롯데는 사드 보복의 연장선에 놓이게 됐다.


28일 중국 국가여유국은 이날 한국행 단체관광을 일부 허용하면서도 롯데호텔 숙박과 롯데면세점 쇼핑은 금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중 양국이 관계정상화 선언 이후 사드 보복 해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고 실제 중국의 온라인 여행사 등에서 한국 관광상품에 대한 안내를 시작하면서 사드 문제 봉합은 시간 문제라는 시각이 많았다.

그러나 이날 중국 당국이 롯데를 특정해 사드보복 해제에서 제외하면서 롯데그룹은 난처해하는 분위기다. 롯데는 현재 이에 대한 정확한 사실관계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현재 정확한 사실관계를 파악 중이다. 우리도 (언론) 기사를 보고 알게 됐다”고 말했다.

유통업계 일각에선 중국 당국의 사드 보복이 롯데를 중심으로 당분간 연장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국 정부에 사드 부지를 제공하고 미운털이 제대로 박힌 롯데에 대한 중국 국민들의 앙금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결국 롯데에 대한 사드 보복 해제는 최대한 시간을 끌 것이라는 얘기다. 중국인들의 해외여행과 소비가 절정에 달하는 내년 2월 춘절까지는 아직 여유가 있어 명분은 충분하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중국이 단계적 사드보복 해제를 실시하는 것도 현재는 관광 성수기가 아닌 부분도 있다. 롯데를 ‘케이스(case)’로 중국 정부에 대항하면 이렇게 된다고 보여주는 것 같다. 적어도 내년 춘절까지는 이 기조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른 한편에선 다음 달 예정인 한·중 정상회담을 기점으로 사드 보복이 완전히 해제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중국 정부가 롯데문제를 경제 분야 협상카드로 제시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중국과 경제협력 개선을 바라는 한국으로서는 ‘하나를 포기하고’ 롯데 문제를 해결하는 협상안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있다. 롯데도 이를 바라는 눈치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사드보복 해제가 여러 단계가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한·중정상회담 등을 통해 상황이 호전되길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