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세이하 무주택자 대상 소형 임대주택 30만실 공급…시세 80%수준 신혼희망타운 7만가구 건립
더불어민주당과 정부가 생애주기 맞춤형 주거복지 방안을 마련했다. 청년층에 소형 임대주택 30만실 공급, 금융지원과 신혼부부·고령자 주거지원책 등이 골자다. 이같은 내용은 소득 수준별 주거복지 방안 등과 함께 이번주 발표되는 주거복지 로드맵에 포함될 전망이다.
2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당정은 국회 의원회관에서 이같은 내용의 주거복지 로드맵 당정협의안을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주거복지 로드맵의 기본 방향은 소득 수준별 수요자 맞춤형 지원, 무주택 서민을 위한 주택공급 확대, 주거복지 과제 실천을 위한 기반구축 등으로 설정됐다.
당정은 생애주기별 맞춤형 주거지원 방안을 내놨다. 우선 만 39세 이하 무주택 청년을 대상으로 소형 임대주택 30만실이 공급된다. 또한 청년우대용 청약통장 도입, 청년 대상 대출지원 강화 등이 대책에 담겼다.
신혼부부의 경우 임대주택 지원 자격이 혼인기간 5년 이내‧유자녀 부부에서 혼인 7년 이내‧무자녀부부와 예비부부까지 확대된다. 또한 당정은 시세 80% 수준의 신혼희망타운 7만가구를 전국에 공급할 계획이다. 수도권에는 물량의 70%가 공급된다.
고령층의 경우 연금형 매입임대 등의 지원방안이 대책에 포함된다.
소득 수준별 주거지원 방안도 논의됐다. 저소득‧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내년부터 주거급여 지원대상과 금액이 확대된다.
또한 당정은 무주택 서민과 실수요자를 위해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계획을 세웠다. 공공임대 65만 가구, 공공지원 민간임대 20만 가구, 공공분양 15만 가구 등 총 100만 가구의 임대주택이 공급된다.
이날 당정 협의를 바탕으로 오는 29일 주거복지 로드맵이 관계부처 합동 브리핑을 통해 발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