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국종 교수, 브리핑서 밝혀…스트레스로 우울감 증세도

아주대병원 이국종 교수가 22일 브리핑을 갖고 귀순 북한 병사의 회복 상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사진=뉴스1
최근 귀순 과정에서 총상을 입었던 북한 병사는 현재 안정된 자가호흡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면밀한 검사와 관찰이 필요한 상태다. 

 

아주대병원은 북한군 병사 수술을 집도한 이국종 교수 주재로 22일 오전 브리핑을 개최했다. 이날 브리핑에서 이 교수는 “2차 수술 이후 환자는 중환자실에서 인공생명유지장치를 이용해 기계호흡을 시행했다”면서 “환자에게 투여하던 혈압 상승제 등 약제를 조절하며 환자의 활력 징후 및 전신 상태에 대한 면밀한 관찰을 했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2차 수술 이후 3일째인 지난 18일 오전 기계 호흡을 중단할 수 있다고 판단돼 기도에 삽관된 관을 발관했다”며 “환자는 그 이후 점차 안정을 찾아 현재 안정된 자가 호흡을 하고 있는 상태”라고 강조했다. 

 

이 교수에 따르면 환자는 총상 부위 좌측 폐에 폐렴과 무기폐 소견을 보였다. 하지만 기관지내시경을 시행해 객담을 제거하고 항생제를 투여하며 현재 호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2차 수술 이후 3일째부터는 발열 없이 안정적 상태다. 

 

이 교수는 “하지만 이송하는 동안 심한 출혈성 쇼크가 있었고, 복강 내 분변 오염 및 장관 파열 정도가 심했고, 기생충 감염 및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됐다”며 “총상 및 수술 부위 악화 가능성이 높아 일정기간 중환자실에서 치료와 면밀한 검사, 관찰이 필요한 상태”라고 말했다.  

 

아주대병원에 따르면 환자 수술 중 발견된 기생충들에 대한 치료는 시작했고 Ascaris lumbricoides(회충), Toxocara canis(개회충) 등으로 확인됐다. 추가적 검사에서 우측폐 상엽과 하엽에서 비활동성 결핵이 발견됐다. B형 간염도 발견된 상태다.  

 

결핵은 치료가 필요한 상황은 아니나 추가적 결과를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B형 간염과 대량 수혈에 따른 간기능 악화에 대해 약물치료를 진행 중이다. 사지의 다발성 총상은 오염물 및 괴사 조직 제거 이후 모두 지연성 봉합을 시행한 상태다. 현재 창상 감염 등 후유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총상 부위에 대해 관찰과 치료가 필요하다.    

 

이 교수는 “환자 의식은 명료한 상태이고 치료에는 협조적이지만 두 차례 수술과 귀순과정, 피격 상황, 중환자실에서 치료 등에 의한 심리적 스트레스로 대화에는 소극적이며 우울감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정서적 지지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평가 및 치료도 계획하고 있다.  

 

이 교수는 “환자는 총상, 수술, 대량수혈, 감염, 스트레스 등에 의한 후유증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 상태가 확인될 때까지 수일 이상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지속할 예정”이라며 “이후 환자 이송 및 치료는 관계 기관과 협의해 결정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