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앞두고 ‘방한 관광시장 활성화 방안’ 발표…동남아 3개국 관광객 무비자 입국 한시 허용
정부가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 동안 관광 활성화를 위해, 올해 말 종료 예정이었던 중국인 단체 관광객(유커·遊客) 전자비자 발급수수료 감면 혜택을 내년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또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3개국 단체 관광객의 무비자 입국을 한시적으로 허용하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3일 민·관 합동 경제현안간담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한 방한(訪韓) 관광시장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방안에 따르면 양양공항으로 들어오는 인도네시아, 베트남, 필리핀 단체 관광객은 내년 4월까지 무비자로 입국할 수 있다.
또한 올해 말 종료되는 유커에 대한 전자비자 발급수수료 감면 혜택 역시 내년 말까지 1년 연장 된다. 발급수수료는 1명당 15달러(한화 약 1만7000원)다.
정부는 올림픽이 열리는 내년 한 해 동안 법무부가 지정한 크루즈선을 타고 국내로 들어오는 유커의 무비자 관광을 허용하기로 했다. 아울러 우리나라 포함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를 1회 이상 방문한 전력이 있는 중국과 동남아 국민에게 복수사증도 발급한다는 방침이다.
정부가 이처럼 국내로 들어오는 외국인에 대한 문턱을 낮춘 이유는 과거보다 침체한 관광산업 탓이다. 유커가 급감한 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평창올림픽 특수를 이용해 떠나간 외국인 관광객을 국내로 다시 불러들이겠단 복안이다. 한중 관계 역시 회복 기조를 보이고 있어, 이 기회를 통해 중국인 관광객 유치에 더욱 힘을 쏟겠다는 것이다.
김동연 경제부총리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논란으로 인해 중국인 관광객 수가 올 3월부터 9월까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1.3% 감소했다”면서 “관광객 감소로 인한 관광산업 위축, 관련 일자리 감소 등의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