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이후 거래절벽 심화…이달 발표될 주거복지로드맵에 관심 집중

 

10월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집계된 매매 실거래건수가 급감했다. 사진은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강남의 주거단지 모습. / 사진=뉴스1

 

정부의 잇따른 규제 영향으로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가 뚝 끊겼다.

1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신고 기준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3749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1만2878건)보다 71% 감소한 수준이고, 역대 10월 거래량으로는 글로벌 금융 위기로 부동산시장이 얼어붙었던 2008년(2209건) 이후 9년 새 최저치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8월 1만4761건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한 이후 9월 8350건으로 급감했다. 10월엔 이마저도 반토막이나며 거래 절벽이 현실화되는 모양새다.

부동산 업계는 거래량 급감이 8·2 부동산 대책의 영향으로 줄어든 매수수요가 시차를 두고 통계에 반영된 영향이라고 보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올라오는 주택거래신고는 계약일로부터 60일간의 유예기간이 있기 때문에, 10월 신고분부터는 8·2 대책 규제 이후의 거래만 반영된 셈이다.

자치구별로 보면 거래량 감소폭이 가장 큰 곳은 지난 한달간 113건이 거래된 동작구로 나타났다. 이번달 거래량은 전년 동월의 19% 수준에 그쳤다.

노원구의 거래량 급감도 눈에 띈다. 노원구에서는 8월 1663건의 아파트가 거래된 이후 9월 777건, 10월 317건으로 거래량이 줄었다. 노원구는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중을 일컫는 전셋가율이 80%를 웃도는 아파트가 많아 갭 투자자들이 많이 몰리는 곳 가운데 하나였다. 그러나 투기지역으로 지정되며 대출이 막히면서 갭투자자는 물론 대출을 이용해 평수를 넓혀가려던 갈아타기 실수요자들까지 매매를 포기, 거래가 얼어붙은 모습이다.

이달 중 발표 예정인 주거복지로드맵 내용이 시장을 더 얼어붙게 할지, 온기를 불어넣을지에 업계 관계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들은 정부가 다주택자의 임대사업자 등록을 유도하기 위해 세금 및 건강보험료 인센티브를 높이는 방안을 담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이달 중으로 발표될 예정인 ‘주거복지로드맵’에 담길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 강도에 따라 급속히 악화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8·2 부동산 대책을 발표하며 울 25개 자치구 전역을 투기과열지구로 지정했다. 또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를 비롯해 용산·성동·노원·마포·양천·영등포·강서구 등 11개구는 투기지역으로 중복 지정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