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참여단 15일 마무리 4세션 토의후 최종 조사 돌입…20일 정부에 권고안 제출

신고리5,6호기백지화전국시민행동 회원들이 14일 서울 중구 보신각 앞에서 열린 탈핵자전거원정대 활동보고에서 신고리 5·6호기 백지화를 촉구하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 사진=뉴스1


신고리 5·6호기를 다시 건설할지 여부를 놓고 충남 천안 계성원에서​ 2박3일간의 합숙토론에 들어간​ 시민참여단 471명이 14일 이틀째 일정을 진행했다. 


이번 종합토론회는 신고리 5·6호기 중단 및 재개 필요성을 설명하는 ‘총론 토의’와 안전성 및 환경성 등을 주제로 한 ‘쟁점 토의’로 나뉘어져 있다.

이날 오전 진행된 총론토의에선 건설 재개 및 중단을 주장하는 양측은 각각 상반된 주장으로 시민참여단을 설득하며 팽팽하게 맞섰다.

건설을 재개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은 공사를 중단하면 2조8000억 원의 매몰 비용과 더불어 추가 비용이 생긴다는 점, 원전을 건설하면 LNG 발전소 건설이 줄어들어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건설 반대 입장의 전문가들은 이에 맞서 신고리 5·6호기가 건설되면 원전 10기가 한 곳에 있어 지진 등 발생 시 대형 사고가 예상된다는 점, 대체 에너지를 통해 원전 건설을 대체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시민참여단 설득에 나섰다.

양측 대표자 각각 4명에게 시민참여단들의 날카로운 질문도 이어졌다.

시민참여단은 건설 반대 측에게 원전 중단 시 전기요금이 더 오르지 않는지, 5·6호기 중단 시 가스발전소(LNG) 등으로 대체하는 비용이 얼만지 등에 대해 물었다.

건설을 해야 한다는 측에는 신고리 5.6호기를 짓고 나서도 원전을 더 지어야 하는지, 핵폐기물 처리비용과 이를 반영한 전기요금은 얼마인지를 묻는 질문을 던졌다.

13일부터 이어진 이번 종합토론회는 마지막 날인 15일 오전 3세션 전력수급 등 경제성토의, 오후에는 4세션 마무리 토의를 거친 후 막을 내릴 예정이다.

한편 어제 3차 조사를 마친 시민참여단은 이날 양측 의견을 취합한 후 안전성 및 환경성 등을 놓고 토의를 이어갔으며 15일 4세션까지 토의를 마친 후 최종적으로 조사에 돌입한다.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는 최종조사 결과를 분석해 20일 정부에 권고안을 제출하게 된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